한화운용 올인 테마형 펀드 뒷심, 판매 드라이브 일부 소규모 펀드 지정 우려, 지속 가능성 과제
윤기쁨 기자공개 2023-02-15 10:16:41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0일 15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테마형 펀드에 올인하고 있는 한화자산운용이 뒷심을 발휘하고 있다.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ETF(상장지수펀드) 업계 5위로 올라서며 성과를 내는 모습이다. 다만 일부 종목들이 저조한 거래량을 보이고 있어 소규모 펀드에 지정될 위기에 처했다.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최근 '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와 '한화 Japan REITs 부동산'에 대한 소규모 펀드 요건을 해소했다. 지난달 설정 원본이 50억원에 못 미쳐 소규모 펀드로 지정된 지 보름만이다. 적극적인 판매 촉진 마케팅을 벌인 끝에 자금 유치에 성공했다.

통상 타 자산운용사들이 추가 투자금을 모집하지 못해 모자형으로 전환하거나 펀드 합병, 펀드 해지 등의 방법을 선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긍정적이다. 다만 '한화차이나증권'을 비롯해 'ARIRANG 탄소효율그린뉴딜', 'ARIRANG KRX300 헬스케어' 등은 여전히 소규모 펀드 요건을 겨우 웃도는 수준으로 또다시 지정될 위험이 있다.
자본시장법상 설정 1년 이후 1개월간 설정액이 50억원 미만인 경우 소규모 펀드로 지정된다. ETF(상장지수펀드)의 경우 상장 1년 이후 1개월 순자산 총액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금융당국은 소규모 펀드가 전체 상품의 5%를 넘는 경우 신규 공모펀드를 낼 수 없도록 제재하고 있다. 운용사 입장에서도 운용 비효율을 초래하는 요소다. 자금이 일정 수준에 미달하면 자유로운 포트폴리오 구성이 어렵고 고정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한화운용은 테마형을 전면으로 내세우며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과점한 펀드 시장에서 틈새 공략에 나서고 있다. 작년 연말까지 ETF 순자산총액 7위(1조4472억원)에 불과했던 한화운용은 이달 초 5위(1조9543억원)으로 급부상하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업계 최초'와 '혁신 테마' 콘셉트를 통해 키움투자자산운용(KOSEF)와 NH아문디자산운용(HANARO)를 제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국내 최초 글로벌 희토류 산업에 투자하는 '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를 시작으로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ARIRANG 우주항공&UAM iSelect △ARIRANG 미국대체투자Top10MV △ARIRANG K-유니콘투자기업액티브 △ARIRANG 글로벌인공지능산업MV 등의 테마형을 연이어 출시했다. 올해도 국내 최초로 방위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ARIRANG K방산Fn'를 상장했다.
라인업 확대와 순자산총액 증가에는 성공했지만 일부 종목들의 저조한 자금 유입으로 인한 지속 가능성 여부 등은 여전한 숙제로 남는다.
최근 소규모 펀드 해소에는 성공했지만 전일 기준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42억원) △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40억원) △ARIRANG 탄소효율그린뉴딜(28억원) 등이 여전히 50억원을 밑돌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