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추가 투자유치 분주, MBK 재등판하나 내달 말 해외 투자자 윤곽, 장기간 검토·자금력 갖춘 MBK '급부상'
감병근 기자공개 2023-02-15 07:56:25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14:5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온이 해외 투자자로부터 추가 투자유치를 성사시키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투자 유력 후보로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다시 거론된다. MBK파트너스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최종 투자 참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14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SK온은 약 2조원 규모의 추가 투자유치를 목표로 해외 PEF 운용사 및 연기금들과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일부 투자자들과 논의가 진전되면서 내달 말경에는 투자자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전해진다.
투자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MBK파트너스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작년에도 SK온 투자를 검토했다. 작년 말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이하 한투PE) 컨소시엄과 함께 투자를 진행할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이번에도 MBK파트너스가 유력 투자자로 거론되는 배경에는 작년 SK온 투자를 면밀히 검토했다는 점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MBK파트너스는 작년 초부터 칼라일, 블랙스톤자산운용 등과 함께 SK온 투자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기간 투자를 검토한 만큼 세부 협상에서 합의점만 찾게 된다면 바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신속한 투자금 납입은 유럽, 미주 등에서 설비투자(CAPEX)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SK온에게는 매우 중요한 투자 조건일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SK온이 MBK파트너스 측에 작년보다 더 나은 조건을 제시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SK온은 현재까지 약 3조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이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마무리했고 한투PE 컨소시엄이 작년 8300억원 가량의 투자금을 납입한 데 이어 추가로 50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모집 중이다. 이번 투자유치 성사규모에 따라 조달 규모는 5조원 이상으로 불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MBK파트너스는 SK온 투자와 관련해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MBK파트너스 관계자는 “SK온 투자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율호머티리얼즈, 아쿠아메탈스·한양대연구소 MOU 체결
- [Company Watch]잘 나가던 인텔리안테크, 돌연 수익성 '주춤'
- [스팩 합병 디스카운트 점검]매출 300억 약속한 라온텍, 3분기 누적 '70억' 불과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지분 11%'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 지배력 높일 묘수는
- [스팩 합병 디스카운트 점검]'시총 30%' 뛴 엑스게이트, 400억 매출목표 달성 '글쎄'
- [thebell note]"피곤하지만 싫진 않아"
- 로우카본 “한국 특성 고려한 DACCS 기술 필요”
- '나스닥 상장' 캡티비전, 합병구조 '독특하네'
- [thebell note]스팩, '공급 과잉'의 그림자
- [Red & Blue]지배구조 재편 마친 드림텍, 신사업 기대감 커진다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자산 유동화 나선 한샘, 방배동 매장 매각 가능성은
- '검단 보상 여파' GS건설, 폐기물 재활용업체 인수 속도조절
- '아이케이 인수' 이음PE, 건설 폐기물 시장 성장성에 베팅
- '불황 속 저력' 케이알앤파트너스, 역대 최대 실적 가시권
- 복수 SI, 플라이강원 인수의향서 제출…본입찰 흥행 '청신호'
- 제뉴원사이언스 연내 예비입찰 추진, 소수지분 매각도 가능
- '대형 PE와 협상' 라데팡스, 한미사이언스 투자 남은 관문은
- M&A 분주한 솔브레인, 1000억 CB 조달 추진
- '대원플랜트 인수' 인빅터스PEA, 'VIG·BNK증권' 우군 삼는다
- [고금리 시대 LP 운용 전략]'안정성 중시' 교직원공제회, '사모·부동산 대출' 대체투자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