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V 리포트]LG화학, 분쟁 리스크에도 JV 선택한 이유는④신학철 부회장 "혼자 할 수 없는 경우 합작"...배터리 소재 JV 잇달아 설립
조은아 기자공개 2023-04-04 07:34:21
[편집자주]
최근 몇 년 사이 기업들의 만남 소식도, 이별 소식도 부쩍 늘었다.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경영환경도 빠르게 변하면서 합작법인(조인트벤처·JV)은 기업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로 떠오른 지 오래다. 끝이 정해져있다는 명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단 손부터 잡고보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더벨이 주요 기업의 만남과 이별 사이에 숨겨진 이해관계를 짚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9일 16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3대 신성장동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리튬, 니켈 등 우리 혼자 할 수 없는 분야가 있어 조인트벤처가 다수 추진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지역 리스크나 비즈니스 전반을 더 살펴 실패가 없게 하겠다."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은 28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합작법인 설립에 따른 리스크, 예를 들어 사업 부진시 국제 분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자 이렇게 대답했다. 그의 한마디에 LG화학이 합작법인 설립에 유독 적극적인 이유가 담겨 있다.
LG화학은 기업이 단기간에 신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합작법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2020년 배터리 사업을 떼어내고 배터리 소재와 바이오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은 뒤 합작법인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업 분야는 물론 국경도 가리지 않고 이뤄지고 있다.
합작법인 설립에 따른 리스크는 내부에서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만 일단 갈 길이 먼 만큼 빨리 갈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지분구조에서도 알 수 있다. 지분율을 살펴보면 도레이와 세운 합작법인을 제외하면 51 대 49를 선택했다. 절반가량 참가해 사업 주도권은 놓지 않으면서도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일부러 균형은 깬 모양새다.

LG화학이 지난해 배터리 소재 사업을 위해 만들었거나 만들기로 한 합작법인만 3곳이다. LG화학은 지난해 5월 중국 화유코발트의 양극재 자회사인 B&M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법인은 LG화학의 구미 양극재 공장에 B&M이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설립된다. 지분율은 LG화학이 51%, B&M이 49%다. LG화학의 구미 양극재 공장은 2025년까지 약 5000억원이 투입돼 지어지는데 단일 공장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양극재 공장이다.
배터리 생산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양극재는 배터리의 용량, 수명 등 핵심성능을 결정한다.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과 함께 배터리의 4대 핵심소재로 통한다. LG화학은 구미에 건설되는 양극재 공장으로 연간 6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화학은 지난해 일본 도레이와 손잡고 헝가리에 분리막 합작법인도 세웠다. 이 법인에 2028년까지 1조원 이상이 단계적으로 투입된다. 지분율은 50 대 50이다. 이곳에서 양산된 분리막은 폴란드에 있는 LG에너지솔루션 공장 등 유럽 배터리 기업들에 공급된다.
고려아연의 자회사인 켐코(KEMCO)와 배터리 재활용 및 전구체를 위한 합작법인 '힌국전구체주식회사'도 설립했다. 켐코 51%, LG화학 49%의 지분율로 구성된다. 양사는 2024년까지 총 2000억원 이상을 투자돼 연간 2만톤 이상의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2024년 2분기부터 제품이 양산되며 여기서 만들어진 전구체는 청주에 있는 LG화학의 양극재 공장에 공급될 예정이다.
전구체는 양극재 원가에서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은 소재다. 해외 수입에 대부분 의존해 2020년 기준 국산화율은 13.9%에 그친다. 켐코는 전구체의 소재인 황산니켈을 연간 8만톤 규모로 생산할 수 있다.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LG화학은 황산니켈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켐코는 국내 시장에서의 확실한 수요처를 확보하게 됐다.

SK온은 전북 군산 새만금 단지에 에코프로, 중국 GEM(거린메이)과 함께 연간 5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전구체 합작공장을 짓기로 했다. 합작법인 이름은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지이엠코리아)'로 투자금은 총 1조2100억원 규모다.
에코프로비엠도 캐나다에 포드, SK온과 함께 양극재 합장공장을 짓기로 했다. 포스코퓨처엠(옛 포스코케미칼)도 GM과 '얼티엄캠'이라는 양극재 합작법인을 설립해 현재 캐나다에 공장을 짓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er Match Up/KB VS 신한]KB금융, 자산건전성 우위 지켰다
- [Peer Match Up/KB VS 신한]반대 흐름 뚜렷한 수익성 지표
- [Peer Match Up/KB VS 신한]무엇이 '리딩금융' 갈랐나
- 서수동 메리츠화재 부사장, 1년 만에 윤리경영실장으로 복귀
- [은행권 알뜰폰 사업 점검]토스모바일 3년차, 성적표는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숙원 풀었다, 종합 금융그룹으로 도약 발판 마련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자세 낮춘 우리금융, "긴장의 끈 놓을 수 없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위 조건부 인수 승인, 조건 살펴보니
- [이사회 분석]하나금융 BSM 공개, 경영 전문가 1명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