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 04월 06일 08:0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예방주사는 전염병 감염을 미리 막기 위한 의료행위다. 신체에 다소 약한 바이러스를 주입해 항체를 형성한 뒤 강한 바이러스에도 이겨낼 수 있도록 역할을 한다.최근 새마을금고의 부동산 PF 부실 사태를 보면 금융권의 예방주사 효과를 떠올리게 한다.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기관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공적자금이 투입되지 않은 곳이다. 과거 새마을금고는 지역 조합원 중심의 가계대출에 치중하면서 부실 관리에 성공한 모범 상호금융기관이었다.
하지만 현재 새마을금고는 부동산PF 부실에 가장 취약한 상호금융기관이다. 3~4% 수준으로 유지하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이 1년여 만에 두 배 수준인 9%를 넘어섰다. 1월 말 기준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비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액은 1111억원으로 전월(602억원) 대비 84.6%(509억원) 급증했다.
금융권에서는 모범 기관인 새마을금고의 몰락 이유로 안이한 대처를 꼽고 있다. 유일하게 공적자금이 투입되지 않은 상호금융기관이라는 자부심이 독이 됐다는 평가다.
최근 이슈가 된 부동산대출에서도 마찬가지다. 농협과 신협, 수협, 산림조합 등은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공동대출 규제를 강화해 왔다. 2019년에는 건설업·부동산업 각각에 대한 공동대출을 전체 공동대출의 3분의 1 이하로 제한했다. 2021년에는 규제를 보다 강화해 부동산업과 건설업 공동대출 합계액이 전체 공동대출의 2분의 1을 넘기지 않도록 했다.
반면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0월에서야 부동산 공동대출 제한 규정을 만들었다. 이미 관련 규정을 신설한 타 상호금융권보다 7~8년 늦은 셈이다. 특히 지난해 10월은 이미 타 상호금융권에서 대부분 부동산 대출 취급을 중단하던 시기였다.
새마을금고가 과거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건전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새마을금고가 운영키로 한 부동산 PF 대주단도 보다 강화된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 이번 사태가 새마을금고가 과거 모범 상호금융기관의 지위를 되찾는 계기가 될 지 지켜보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Red & Blue/특징주]에이텀, 이틀새 주가 '반토막'…흑자 전환은 '내년'
- 케일럼, 태화그룹 장녀 최연지 대표 선임
- [Red & Blue]'정치 테마' 반짝 심텍홀딩스, 반도체 업황 회복 관건
- 최훈 싱가포르 대사 손보협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 부상
- 삼성생명-코리안리, 공동재보험 계약…윈윈 전략
- [저축은행경영분석]OK저축, 러시앤캐시 인수 효과 눈길...건전성 과제 여전
- 교보라이프, 바이오회사에서 CEO 영입한 노림수는
- [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신한금융]진옥동 회장의 '일류신한' 실험…난관 속 혁신
- [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KB금융]양종희 '회장'에 대한 첫 성과평가…산적한 난제들
- '쿠팡 출신' 김우식 대표, 신생 VC '옥타곤벤처' 설립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최훈 싱가포르 대사 손보협 차기 회장 유력 후보로 부상
- 삼성생명-코리안리, 공동재보험 계약…윈윈 전략
- 교보라이프, 바이오회사에서 CEO 영입한 노림수는
- 삼성, 통합 브랜드 1년만엔 계열사간 CEO 연쇄 이동
- 이문화 삼성화재 대표 선임…영업·기획력 갖춘 인재
- 삼성생명, 홍원학 신임 대표 선임…3년 만에 친정 금의환향
- [삼성화재 인사풍향계]실적 앞세운 홍원학 대표, 연임·이동 갈림길
- 비과세·해외투자 가능 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주목
- 우체국예금, 자산운용 수익률 플러스 반전
- [DB손보 인사풍향계]'영업통' 우대…법인·해외사업 임원 승진자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