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차세대 지형도]LS그룹 구동휘 부사장, '독보적' 평가 받는 이유②3세 경영인 중 사실상 유일한 '장자 라인'
박기수 기자공개 2023-05-24 07:21:54
[편집자주]
소유와 경영이 드물게 분리되는 국내에서 오너기업의 경영권은 왕권과 유사하게 대물림한다. 적통을 따지고 자격을 평가하며 종종 혈육간 분쟁을 피할 수 없다. 재계는 2022년 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승진과 함께 4대그룹이 모두 3세 체제로 접어들었다. 세대 교체의 끝물, 다음 막의 준비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주요기업 차기 경영권을 둘러싼 후계 구도를 THE CFO가 점검해 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5월 18일 15:31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기업에 종사하는 인물들은 소속 그룹의 오너 경영인들을 종종 숫자로 지칭한다. 작년 말 종영했던 인기 드라마에서도 등장한 방법이다.역사가 길고 인물이 많은 그룹일 경우 오너 경영인들도 많기 때문에 특정 인물을 편리하게 식별하기 위해 등장했다. 예를 들어 '1-1-1'은 창업주의 장남의 장남이다. '1-1-2'는 창업주의 장남의 차남, '1-2-1'은 창업주의 차남의 장남인 식이다.
LS그룹도 내부적으로 오너들을 이런 형식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LS그룹의 1세대 오너들은 '고(故) 구태회·평회·두회' 명예회장이다. 각 명예회장의 아들들인 2세대 경영인에 이어 현재 3세대 경영인까지 LS그룹의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지금까지 LS그룹의 회장 승계 방식은 '장자 승계 원칙'을 따랐다. 차세대 리더를 알아보기 전 잊지 말아야 할 원칙이다. 회장들의 장남들인 '1-1' 故 구자홍 전 회장, '2-1' 구자열 ㈜LS 이사회 의장, '3-1' 구자은 회장이 LS그룹 회장을 순서대로 맡은 것도 이 때문이다. 현 회장인 구자은 회장은 2세대 장남들 중 마지막 회장이다.
구자은 회장이 회장직에 오른 것은 작년 1월로 이제야 2년 차에 접어들었다. 전임 회장들인 구자홍·자열 회장의 임기가 각 9년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구자은 회장도 2030년까지 LS그룹을 이끌 전망이다. 다시 말해 2030년 이후에는 LS그룹 3세 경영인이 나설 차례라는 의미다.
3세대 경영인들 사이에 회장 선임 원칙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원칙대로라면 '1-1-1', 즉 2세대 장남들 중 가장 선두격인 구자홍 전 회장의 장남인 구본웅 마음커뮤니케이션 대표가 가장 유력한 차세대 리더다. 그러나 구본웅 대표는 소속명에서도 알 수 있듯 LS그룹 외부에서 자신만의 커리어를 쌓아가고 있다. ㈜LS 지분도 없다. LS그룹 승계 레이스에서 벗어났다고 보는 해석이 많은 이유다.
구동휘 부사장은 LS그룹 승계 원칙대로라면 현재 독보적인 위치다. 가계도상 구동휘 부사장은 현재 3세대 경영인들 중 유일한 장남 라인이다.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지만 구동휘 부사장은 포지션 상 LS그룹을 장기적으로 이끌어 갈 리더일 가능성이 있다. 우선 구본웅 대표는 앞서 언급한 대로 LS그룹 경영에서 벗어나 있다. 또 현 회장인 구자은 회장은 아들이 없다.
2세대 경영인들이 9년 간격으로 회장직을 승계했던 이유는 회장직을 맡을 수 있는 '장남'격 인물이 3명(구자홍·자열·자은)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3세대 경영인들 중 장남 라인은 구동휘 부사장이 유일하다.
구동휘 부사장은 현재 구자은 회장을 제외하면 특수관계인들 중 단일 주주로서 ㈜LS의 지분을 가장 많이 보유(2.99%)하고 있다.
구동휘 부사장은 1982년생으로 2013년 LS산전(현 LS일렉트릭) 차장으로 입사했다. 이후 2016년 이사, 2017년 상무 승진 등 초고속 승진 절차를 밟았다. 2018년 말에는 ㈜LS로 전입했다가 2021년 초 E1의 대표이사로 임명됐다. 그러다 작년 말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올해 초부터 입사 회사인 LS일렉트릭 대표로 이동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임종룡호 우리금융, '지주-안정·은행-쇄신' 택했다
- [i-point]위지윅스튜디오, 이정재·정우성과 '와이더플래닛' 투자
- DS단석, 이르면 22일 코스피 입성한다
- 유재훈 사장표 '예금보험 3.0', 2년차 맞는다
- '주주환원' 시노펙스, 주식배당 무상증자 결정
- 다이나믹디자인, 글로벌 타이어 피렐리 전략공급사 선정
- [CEO 성과평가]서정학 IBK증권 대표, 취임 첫해 '급한 불은 껐다'
- 더코디, 서울과기대 손잡고 'AI 에듀테크' 시장 진출
- [삼성 AI 로드맵]똑똑한 메모리 등장, 투자 공세 유지
- [AI 의료 기업 리포트]100억 매출 돌파 앞둔 뷰노, 못지킨 약속 달라진 전략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Change]SK텔레콤·SK이노베이션 재무 총괄임원 '맞교체'
- 최태원 SK 회장 "CEO, CFO에게 검토받고 투자해라"
- 쇄신의 SK, 재무는 '안정'…이성형 사장 유임 가닥
- 채준식 SK 재무부문장, SK에코플랜트 CFO 거론
- [기업집단 톺아보기]SGC그룹의 마르지 않는 샘물 '열병합발전'
- [기업집단 톺아보기]SGC그룹, 미완의 3세 승계…이원준 전무는 어디에
- SK 배터리 자금 조달 '중추', 김양섭·김경훈 유임할까
- [기업집단 톺아보기]OCI홀딩스 CFO는 '작은 아버지 사람' 황영민 부사장
- LG디스플레이, CEO 교체 속 CFO는 '승진'…성과 평가 기준은
- 재무의 시간은 갔나…'CFO 출신 CEO' 사라진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