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커넥트·차지비 합병…국내 1위 충전사업자 탄생 합병 방식 및 시기 조율, 다른 계열사와 사업 연계 속도
이호준 기자공개 2023-05-25 10:29:51
이 기사는 2023년 05월 23일 1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S에너지가 자회사 GS커넥트와 차지비의 합병을 추진한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설치·운영하는 두 회사를 합병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전략이다. 이 경우 GS에너지는 단숨에 명실상부한 국내 1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를 보유하게 된다.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GS커넥트와 차지비는 현재 합병작업을 진행 중이다. GS에너지 관계자는 "두 회사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현재 내부 작업에 착수했고 합병 방식과 시기에 대한 조율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기준 GS커넥트와 차지비가 국내에 공급 중인 전기차 충전기 합산 규모는 3만7000기에 이른다. 합병 시 점유율 및 충전기 보유 대수 기준으로 국내 1위 충전사업자(CPO)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수준이다. 그동안은 파워큐브코리아가 업계 선두를 유지해 왔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의 합병 이유로 GS그룹의 전기차 충전 사업 역량 강화를 꼽는다. 앞서 두 회사는 지난 2년간에 걸쳐 GS에너지에 인수됐다. 2021년 지엔텔로부터 약 100억원에 GS커넥트가 인수됐고, 2022년에는 975억원에 차지비가 편입됐다.
GS커넥트와 차지비 모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운영하고 관리 감독하는 충전사업자(CPO)다. 지금까지는 각 사의 성장 방식을 존중하며 통합 작업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통합된 법인으로서 중첩된 사업을 피하고 시너지를 내는데 더 집중할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합병으로 GS그룹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도 속도가 더 붙을 것으로 보인다. GS그룹은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2026년까지 21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 중 약 10조원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등 신사업에 사용될 전망이다.
현재 GS칼텍스와 GS에너지가 구심점이 되어 그룹에서 충전 인프라 사업을 진행 중인 상태다. 합병을 추진 중인 두 회사가 전력제어, 스마트그리드 등 신기술에 강점이 있는 만큼 그룹 내 다른 발전 계열사와의 비즈니스 연계 방안을 짜기도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GS에너지 관계자는 "GS그룹의 목표는 단순히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만이 아니다"라며 "에너지 산업과 충전 인프라 사업 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각종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지방 주택 개발사업 '제자리걸음'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총판 계약 체결
- [i-point]김연수 한컴 대표, 2025년 AI 사업 성과 '사활'
- 아이엠지티, 췌장암 국내임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 케이클라비스 NPL펀드 조성 지체…지방은행 유치 지연
- DS운용, 판매고 감소 속 'KB증권' 약진
- "장기전 돌입한 부동산, 해답은 '똘똘한 한 채'"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
-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MBK와 장기전 돌입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 일관 제철소 '승부수' 현대제철, 강관 동반 '미지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제철 첫 해외생산 '루이지애나'...무게중심은 여전히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