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집단 톺아보기]세아제강지주의 핵심 현금줄 '세아스틸인터내셔날'⑤미국·유럽·베트남 등 해외 자회사 중간지주 역할…올해 배당 212억
박기수 기자공개 2023-07-06 07:26:18
[편집자주]
사업부는 기업을, 기업은 기업집단을 이룬다. 기업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영위하는 사업의 영역도 넓어진다. 기업집단 내 계열사들의 관계와 재무적 연관성도 보다 복잡해진다. THE CFO는 기업집단의 지주사를 비롯해 주요 계열사들을 재무적으로 분석하고, 각 기업집단의 재무 키맨들을 조명한다.
이 기사는 2023년 06월 30일 16시2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태성 사장의 세아홀딩스에 세아베스틸지주가 있다면 이주성 사장의 세아제강지주에는 세아제강과 세아씨엠, 세아스틸인터내셔날이 있다. 이중 해외 자회사들을 거느리고 있는 중간지주사 '세아스틸인터내셔날'이 최근 지주로의 현금흐름을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세아제강지주의 주주는 이순형 회장·이주성 사장 부자와 이순형·주성 부자가 대부분의 지분을 쥐고 있는 '에이팩인베스터스'다. 이 회장이 12.56%, 이 사장이 21.63%, 에이팩인베스터스가 지분 22.82%를 쥐고 있어 세 주체의 지분율 합이 약 57%다. 오너 일가들로 흘러 들어가는 현금흐름의 주 원천이 세아제강지주의 배당인 만큼 세아제강지주로 흘러들어오는 배당 등 현금흐름이 오너들에게는 관건일 수밖에 없다.
이태성 사장의 세아홀딩스 계열은 계열내 여러 자회사들의 각자의 해외 자회사를 품고 있는 구조다. 반면 이주성 사장의 세아제강지주 계열은 영국 해상풍력 구조물 자회사 '세아윈드(SeAH Wind)'를 제외한 모든 해외 자회사들을 세아스틸인터내셔날을 통해 보유하고 있다.
△세아스틸아메리카(SeAH Steel America) △세아스틸인베스트먼트아메리카(SeAH Steel Investment America) △세아스틸비나(SeAH Steel Vina) △세아재팬(SeAH Japan) 등이 세아스틸인터내셔날의 지배를 받는 해외 자회사다. 자회사들은 미국·베트남·일본·아랍에미리트·인도네시아·이탈리아·중국·베트남 등 세계 각지에 포진돼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세아제강지주는 세아스틸인터내셔날로부터 86억원의 배당수익을 기록했다. 세아제강(49억원), 세아씨엠(70억원)을 제치고 자회사들 중 지주에 가장 많은 수익을 가져다 준 계열사로 거듭났다.
올해는 기여도가 훨씬 높아졌다. 1분기 말 기준 세아제강지주가 세아스틸인터내셔날로부터 거둔 배당수익은 212억원으로 작년보다 약 2.5배 늘었다. 세아제강으로부터는 84억원, 세아씨엠으로부터는 5억원만의 배당수익을 거뒀다.
세아스틸인터내셔날의 기여 덕분에 올해 1분기 세아제강지주의 별도 영업수익은 작년 1분기 대비 42.7% 늘어난 330억원을 기록했다. 330억원 중 315억원이 배당금수익이다.
올해 대규모 배당이 이뤄진 배경으로는 작년 해외 자회사들의 선전 덕분인 것으로 보인다. 작년 미국에 위치한 세아스틸아메리카 법인은 순이익으로 2119억원을 기록했다. 세아스틸USA와 세아스틸비나 법인도 각각 544억원, 7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세아스틸인터내셔날 산하 자회사들 중에서 가장 자산규모가 큰 곳은 세아스틸아메리카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자산총계가 9125억원으로 세아제강지주의 주력 계열사인 세아제강(1조5557억원)의 59% 수준이다. 이외 세아스틸USA(3126억원), 세아스틸비나(1641억원) 등도 덩치가 큰 자회사로 분류된다.
세아스틸아메리카 법인은 197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설립된 곳이다. 1991년 OCTG 강관 유통회사인 '파트너 서플라이(Partner Supply, 현 OCTG Division)'사 인수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현재 어바인(Irvine), 휴스턴(Houston) 등에 철강제품을 유통하면서 북미지역의 핵심 판매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세아스틸USA는 2016년 설립됐다. 텍사스 주 휴스턴에 위치한 세아제강 최초의 북미 단일 제조 법인이다. 파이프 조관부터 Q&T 열처리, 나사, NDT 등 후처리 공정까지 포괄하는 완제품 일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세아스틸비나는 1995년 베트남 남부 동나이성(Dong Nai Province)에 설립된 베트남 최대의 ERW 강관 메이커다. 2019년 3월 제2공장 준공으로 연 33만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두산건설 밸류업 중간점검]도시정비 수주 사활, '위브' 브랜드 경쟁력 키운다
- [thebell interview]"美 진출, 물류센터로 첫 발…고급주거 개발 박차"
- [이뮨온시아 IPO]'모기업·신약' 기대감, 기관 엑시트에도 몸값 두배 커졌다
- 세아제강, 허리띠 졸라맸지만…영업현금흐름 '마이너스 전환'
- [현대제철을 움직이는 사람들]'기술통' 이보룡 부사장, 판재사업 정상화 '전면에'
- [LCC 통합 전초전]자회사에 '2800억' 쏜 아시아나, 현금곳간 '빠듯해졌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한화큐셀 박승덕 사장, 복귀 4년만에 대표 내정
- E&F PE, 코엔텍 매각 개시…차주 티저레터 배포
- [i-point]신테카바이오, 중기부 ‘산학연 Collabo R&D’ 사업 선정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
- [비용 모니터]원가 부담 덜어낸 삼성SDI, 실적 회복 추진력 얻었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삼천리, 쌓이는 현금에도 0.1~0.2배 박스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