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다의 성장 기반, 중소형 숙박업체 겨냥한 'SaaS' ①호스피탈리티 테크 '선도', 소규모 숙박시설 객실 유통 '해결사'
양용비 기자공개 2023-08-29 07:41:53
[편집자주]
팬데믹 기간이 막을 내리고 엔데믹 시대가 도래했다. 팬데믹 장기화로 여행산업 생태계가 무너진 가운데서도 서바이벌에 성공한 스타트업은 있었다. 성수기인 휴가 시즌을 맞아 여행 관련 스타트업은 움츠렸던 날개를 펴고 새롭게 도약할 채비를 마쳤다. 더벨은 리오프닝 기대감에 부푼 여행업계 스타트업의 미래 성장 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8월 28일 15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호스피탈리티 테크기업 온다는 IT 기술로 호텔·숙박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있다. 펜션 등 중소형 숙박업체에 S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B2B 비즈니스 기업이다. 자체적인 예약망 구축, 숙소·고객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형 숙박업체에게 단비같은 설루션을 제공했다.2016년 설립 이후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까지 온다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도 중소형 숙박업체를 위한 숙소 판매·관리 설루션을 공급했기 때문이다. 중소형 숙박업체를 위해 자체 개발한 수많은 플랫폼이 온다의 힘이었다.
◇중소 숙박업체 공략, 객실 유통 사업의 시발점

2016년 9월 설립 이후 탄탄한 성장을 해왔다. 자체 개발한 플랫폼이 성장의 씨앗이 됐다. 설립 이듬해인 2017년 4월 론칭한 'ZARI GDS'가 플랫폼 사업의 시작이었다. 숙소 공실 판매대행 서비스인 GDS는 같은해 10월 브랜드명을 ZARI에서 온다(ONDA)로 변경해 재론칭했다.
첫 사업이었던 GDS는 성공적이었다. 론칭 8개월 만에 누적거래액 100억원을 달성했고 15개월 후에는 월거래액 100억원을 달성했다. GDS 론칭 이후 추가 플랫폼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다. 온다 브랜드가 안착하면서 2020년 11월 사명도 티포트에서 온다로 바꿨다.
GDS 론칭 이후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말까지 론칭한 플랫폼만 4개에 이른다. 2018년 4월 호텔이나 리조트 맞춤형 통합 예약관리 시스템인 온다 이지셀(ONDA EasySell)을 론칭했다. 2019년 중소형 호텔 리조트 전문 PMS(호텔 숙박관리 시스템)인 온다 스타(ONDA Star)를 출범하고 중소형 숙소 통합예약관리 플랫폼 온다 웨이브(ONDA Wave)를 베타 론칭했다.
온다 관계자는 “객실 유통에 어려움을 겪는 작은 숙박업소의 고민을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며 “펜션이나 게스트하우스 등 중소형 숙박업소를 위한 온라인 객실 유통 사업을 첫 번째 비즈니스로 삼아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떡잎 알아본 모험자본, 코로나19 이전 베팅
온다는 중소형 숙박업체를 위한 유통 플랫폼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성장성을 입증했다. 모험자본의 레이더에 걸린 것도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2018년 야놀자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온다는 2019년 50억원 규모로 시리즈A 자금을 모집하는데 성공했다.
시리즈A에는 베이스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KB인베스트먼트, 카카오벤처스, 이에스인베스터가 참여했다. 해당 투자금을 연구개발(R&D) 역량 강화와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해 활용했다. 투자 유치에 앞서 온다는 태국 현지 여행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했다.
당시 투자사들은 오 대표를 중심으로 시장 이해도와 개발력이 뛰어난 멤버들이 의기투합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IT 기술 수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숙박 시장에서 빠른 성장을 보인다는 점도 투자 포인트였다.
창업자인 오 대표는 여행 숙박 관련 창업생태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2008년 미국 게스트하우스 예약 서비스 기업 ‘한인텔’을 창업한 그는 2015년 옐로모바일의 여행 자회사인 옐로트래블랩스의 대표를 맡기도 했다.
한인텔 창업 당시부터 중소형 숙박업체들의 페인포인트를 간파했던 그는 숙박 산업에 신속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왔다. 온다가 객실 유통에 어려움을 겪는 펜션이나 게스트하우스 등의 온라인 채널 유통을 첫 비즈니스로 삼은 이유다.
이 관계자는 “온다의 장기적인 목표는 기술을 통해 숙박 시장을 혁신하는 것”이라며 “현재 숙박과 주거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만큼 혁신 기술로 숙박 생태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AI 신약개발 스타트업 성장 돕는다
- [i-point]바이오솔루션, ‘KOREA LAB 2025’ 참가 "동물실험 미래 제시"
- [i-point]시노펙스, 국책과제로 탄소 저감형 필터·시스템 개발 착수
- 인천 용현·학익지구 '시티오씨엘 7단지' 이달 분양
- NH아문디운용, '피지컬AI' 선점…연금시장 포커스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이미지스, 재매각 대신 경영 정상화 '방점'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리트코 품은 아이즈비전, 통신 넘어 환경 사업 확대
- '본업 순항' 파라텍, 외부투자 실패 '옥의 티'
- [i-point]'FSN 계열' 부스터즈,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 [감액배당 리포트]OCI 감액배당, OCI홀딩스만 덕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