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새 CFO 김성열, 데뷔전 첫 과제 '수익성' 악화한 실적 회복 위한 비용 절감 등 운용의 묘 기대
정새임 기자공개 2023-09-05 14:12:37
이 기사는 2023년 09월 01일 13시4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GC녹십자의 자금을 관리할 새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김성열(49·사진)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경영기획팀장이 낙점됐다. CFO 데뷔 무대다. 급격히 악화한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일이 최우선 과제로 주어졌다.김 신임 CFO는 이달부터 경영관리실장으로서 GC녹십자의 경영기획과 회계, 금융, IR, 구매 등 경영관리 전반을 총괄한다.

그에게 있어 GC녹십자는 CFO로서 첫 역량을 발휘할 데뷔전이다. 김 CFO는 전북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KICPA)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LG CNS에서 경영기획과 경영관리 관련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2020년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합류해 경영기획팀장으로서 중장기 경영과 사업계획, 경영정책 수립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약 3년간 GC녹십자의 살림을 책임졌던 조정래 경영관리실장은 미국 법인인 GC바이오파마USA로 발령됐다. GC바이오파마USA는 GC녹십자가 공을 들이고 있는 미국 혈액제제 시장 진출을 목전에 두고 있다.
데뷔전을 치르는 김 CFO에게 주어진 과제는 명확하다. 효율적인 재무 관리로 나빠진 이익률을 회복하는 일이다.
작년까지 안정적인 성장을 이뤘던 GC녹십자는 올해 위기를 맞고 있다. 약 10년간 단 한 번도 감소한 적 없는 매출이 줄어들 조짐을 보인다. 올해 상반기 GC녹십자가 보고한 매출액은 7823억원으로 전년 동기 8402억원보다 7% 감소했다.

매출 감소는 주력 분야인 혈액제제, 백신제제가 아닌 일반의약품 등에서 발생했다. 일반의약품과 기타 용역 등에서 전년보다 약 400억원이 감소한 것이 타격을 줬다.
그보다 더 위기는 급감한 이익이다. 올해 영업이익이 크게 위축됐고 순이익은 손실로 전환할 전망이다.
상반기 영업이익은 101억원으로 전년 549억원 대비 82% 줄었다. 매출원가나 판관비는 전년과 비슷한 반면 매출이 더 많이 줄면서 이익률이 악화했다. 상반기 기준 순이익은 194억 손실로 전환했다.
현금흐름도 좋지 않다. 올해 들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상반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477억원이었다. 영업활동에서 돈이 들어오지 않아 단기차입으로 올해 상환해야 할 빚을 갚고 있다. 올해 상반기 일으킨 단기차입금만 5424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 1761억원이었던 GC녹십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년 만에 769억원으로 약 1000억원 줄었다.
GC녹십자는 하반기 혈액제제와 백신제제 매출을 앞세워 상반기 부진을 딛겠다는 입장이다. 매출이 확대해도 급격히 쪼그라든 이익률을 개선하려면 비용 절감이 절실하다. 김 CFO가 앞으로 초점을 맞출 부분이기도 하다.
GC녹십자 관계자는 "김 CFO의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경영 효율화 달성, 재무 경쟁력 확보를 이뤄낼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내부통제 실패하면 총점의 40% 감점한다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이뮨온시아 IPO]의사에서 경영자로, '국산 항암 신약' 비전으로 뭉친 '원팀'
- "BBT-877 적응증 재탐색" 대응 나선 브릿지바이오
- [인투셀 IPO]상장 주관사에 후한 보상, 10% 신주인수권 별도 지급
- 브릿지바이오, 'BBT-877' 유효성 불발…멀어진 기술이전
- [이뮨온시아 IPO]기술이전 기반 시총 2000억 겨냥, 기댈 구석 'IMC-002'
- [thebell note]달라지는 제약사 주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