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에너지머티, 일진 계열사 주식매각 현금유입 '쏠쏠' 일진그룹사 주식처분 완료…총매각금액 520억 안팎 추정
이민호 기자공개 2023-11-07 14:29:05
이 기사는 2023년 11월 02일 14시5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일진머티리얼즈 시절부터 보유하고 있던 5개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 전량을 처분했다. 이들 주식 처분으로 유입한 현금은 52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연결 기준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의 절반 수준에 이른다. 일진그룹 일가인 허재명 전 사장이 매입한 일진제강 주식의 기여도가 컸다.◇일진 계열사 주식처분…허재명 전 사장, 디스플레이·제강 주식매입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지난해말까지만 해도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을 다수 보유했다. 이들 주식은 일진머티리얼즈 시절부터 보유한 것이다. 올해 3월 14일 롯데케미칼이 2조7000억원에 일진머티리얼즈 지분 53.3%(2457만8512주)를 인수할 때 이들 주식이 인수자산에 그대로 포함됐다. 롯데케미칼이 사들인 지분 전량은 허재명 전 일진머티리얼즈 이사회 의장 사장이 보유하던 것이다. 허 전 사장은 허진규 일진그룹 회장의 차남이다.
지난해말 연결 기준(자회사 롯데에코월(옛 일진유니스코) 보유분 포함)으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보유한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은 △일진다이아몬드 38만9946주(지분율 2.75%) △일진홀딩스 30만3242주(0.61%) △일진디스플레이 754만0951주(14.64%) △일진전기 64만839주(1.73%) △일진제강 7만5126주(10.35%)였다.

이들 주식의 합산 취득원가는 607억원에 이른다. 일진디스플레이 주식 취득원가가 4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일진제강 110억원, 일진전기 51억원, 일진다이아몬드 33억원, 일진홀딩스 13억원 순이다. 이 때문에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로서는 이들 주식을 모두 매각하면 현금흐름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인수 3일 후인 3월 17일 일진디스플레이와 일진제강 주식 전량을 처분했다. 이들 주식을 매입한 인물은 허 전 사장이다. 허 전 사장은 이전에는 일진디스플레이 지분을 보유하지 않았지만 이번 매입으로 허 회장(지분율 24.63%)에 이어 2대 주주가 됐다. 일진제강에서도 지분율을 기존 7.39%(3대 주주)에서 17.74%로 늘리면서 허 회장(지분율 68.18%)에 이어 2대 주주로 뛰어올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로서는 일진제강 주식 매각성과가 꽤 쏠쏠하다. 허 전 사장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보유한 일진제강 주식 전량을 사가는 데 지불한 금액은 215억원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지난해말 장부가액을 106억원으로 평가한 점을 고려하면 막대한 프리미엄이 붙은 것이다. 일진제강이 비상장사인 데다 주주가 허 회장 일가로만 구성된 가족기업이라는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일진디스플레이 주식 전량에 대한 매각금액은 74억원에 불과하다. 장부금액은 2021년말 137억원, 지난해말 91억원 등 갈수록 하락했으며 이번 매각금액은 이보다도 더 낮았다. 상장사인 일진디스플레이의 주가가 부진한 탓이다. 매각금액에 책정된 주당가격은 977원이다. 이번달 1일 종가는 915원으로 더 하락한 상태다.

◇매각총액 520억 안팎 추정…연간 EBITDA 절반 수준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일진다이아몬드와 일진홀딩스 주식 전량은 2분기 중 매각을 완료했다. 이들 주식은 일진그룹 특수관계자나 특정 인물이 아닌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복수 투자자가 매입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이들 주식을 얼마에 매각했는지는 공개되지 않는다. 하지만 매각시기인 올해 2분기 일진다이아몬드 평균주가(2만350원)와 일진홀딩스 평균주가(4696원)를 고려하면 매각금액은 일진다이아몬드 주식이 79억원, 일진홀딩스 주식이 14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일진전기 주식 전량은 3분기 중인 지난 8월 66억원에 매각했다. 일진다이아몬드나 일진홀딩스처럼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복수 투자자가 매입한 것으로 보인다. 일진전기 주식 처분을 끝으로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5개월 만에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을 모두 현금화하는 데 성공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가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을 모두 팔아 손에 쥔 금액은 521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연결 기준 EBITDA가 2021년 1128억원, 지난해 1374억원이었고 올해 상반기 456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일진그룹 계열사 주식 매각금액은 적지 않은 수준이다. 특히 전액 현금으로 받기 때문에 현금성자산 누적에 긍정적이다. 올해 상반기말 현금성자산은 8486억원이다. 자산총계(2조4264억원)를 고려하면 자산의 35%가 현금성자산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 [대성창투의 시프트업]"호시우보 정신, 위기 딛고 재도약 노린다"
- [Company Watch]'원가율 개선' 티로보틱스, 진공이송모듈 흑자전환 견인
- 반성연 달바글로벌 대표의 '근거있는' 자신감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자산별 적용' 도입한 금융당국, 자본관리 완화도 기대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달전략 분석]SK어드밴스드, 회사채 중심 조달로 차입 3배 증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저평가' SK디스커버리, 주주환원이 열쇠될까
- [저평가 시그널: PBR 0.3]BGF-BGF리테일 'PBR' 가른 요인은
- [머니체인 리포트]CJ그룹 '제당→셀렉타'로 이어지는 지급보증 부담
- CJ셀렉타 매각 철회가 남긴 과제
- [머니체인 리포트]R&D 자금소요 CJ바이오사이언스, 현금 지원군 'CJ아메리카'
- [저평가 시그널: PBR 0.3]현대제철, '미국 제철소' 건설로 PBR 개선 기대
- [머니체인 리포트]미국사업 중심 '슈완스' 떠받치는 CJ제일제당
- [Financial Index/SK그룹]HBM 덕본 SK하이닉스, 이자부담 큰폭 완화
- [Financial Index/SK그룹]SK렌터카 '통큰' 매각, SK네트웍스 재무개선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