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7년만의 교체론…하마평 오른 인재들 '검증된 후임' 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들…장용호·박상규 등 발탁 기대
이호준 기자공개 2023-12-06 15:47:50
이 기사는 2023년 12월 04일 16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그룹의 연말 정기 인사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조직의 안정에 방점을 찍었던 작년 기조가 깨지고 주력 계열사에 새 얼굴들을 들일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다.업계에서는 유력 인사들의 이름이 벌써 거론되고 있다. 특히 주된 관심은 그룹의 '싱크탱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들에게 쏠린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과 박상규 SK엔무브 사장 등 기존 부회장들과 비슷한 경력을 밟아온 자타 공인의 '실력자'들이 많다.
◇어느 정도 마련된 신사업 기틀…어게인 2016년?

다만 올해 사정은 조금 다르다. SK그룹과 재계 안팎에서는 2016년 말처럼 '교체' 기조가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올해 급격한 금리상승과 경기 위축을 겪으면서 SK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자금 사정은 대체로 나빠졌다. 인사를 불과 몇 개월 앞두고 "'변화 없이는 '서든 데스'(갑작스러운 죽음)를 맞을 수 있다"던 2016년 최태원 회장의 발언도 올해 CEO 세미나에서 다시 나왔다.
물론 큰 폭의 교체가 있다면 새로운 방향성에 기반을 둔 목표 설정은 불가피하다. 이미 장동현 SK㈜ 부회장은 2021년 파이낸셜스토리를 밝히며 2025년 주가 200만원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도 당시 약 30조원을 투자해 그린 자산 비중을 70%로 늘리겠다고 했고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도 지난해 인수한 솔리다임 딜 효과를 내야 할 시점이다.
다만 어느 정도 신사업 기틀이 다져진 만큼 앞으로는 실질 성과를 위한 쇄신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특히 후임들을 위해 일선에서 용퇴하는 식의 그림이 나올지 관전 포인트로 떠오른다. 이미 계열사 경영에서 손을 뗀 유정준 SK그룹 부회장과 서진우 중국담당 부회장 등과 동반 퇴진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 재계 관계자는 "바꿀 거면 한 번에 다 물러날 만한 시점에 바꾸는 게 맞다고 본다"며 "서든 데스까지 재소환된 마당에 참신한 후배들에게 길을 터주는 의미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장용호·박상규 '검증된 인재'
업계에서는 벌써 다양한 내부 인사들이 하마평에 오른다. 이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고 있는 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 위원장들이다. 2020~2021년 말 부회장에 임명된 박정호(커뮤니케이션위원장), 김준(에너지-화학 위원장), 장동현(커뮤니케이션위원장) 부회장 등이 거쳐 갔던 자리이기도 하다.
현재도 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 위원장에는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들이 대거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지난해 말 환경사업위원장으로 부임한 장용호 SK실트론 사장 등이 주요 인사다. 장 사장은 2019년 SK㈜에서 SK머티리얼즈 인수를 주도해 SK가 소재산업에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재육성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상규 SK엔무브 사장도 빼놓을 수 없다. 박 사장은 최태원 회장이 아끼는 인재라고 알려진다. 2016년 말 SK네트웍스 사장 승진이 부사장 승진 1년 만에 이뤄졌는데 이때 안팎에선 2011년 최태원 회장 비서실장을 역임하며 쌓은 신뢰가 바탕이 됐단 평가가 나왔다. 비서실장 출신의 대표격으로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이 있다. 현재 박 사장은 SK엔무브에서 2040년 전기차용 윤활유 시장에서 글로벌 톱티어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장 사장과 박 사장은 1964년생 동갑내기로 이미 부회장에 오른 김준 부회장(1961년)·박정호(1963년) 부회장 등과 나이 차이도 한 두살에 불과하다. 능력 외적으로도 충분한 리더십과 경험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밖에 지난해 말부터 ICT 위원장을 수행 중인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의 역할 확대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 사장은 1970년생으로 인공지능(AI) 전환을 통해 SK텔레콤의 2026년 기업가치를 4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재계 관계자는 "부회장단이 대폭 용퇴하더라도 하마평에 오른 인사들이 대체로 무난하다는 게 내부 중평"이라며 "다만 부회장 승진자 자체는 조직 안정을 위해 아예 진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Sanction Radar]은행·증권 PD 15곳, '조단위' 공정위 과징금 처분 위기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운전자본 가중 동국산업, 현금흐름 개선 묘수있나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성장보단 생존 우선...동국산업, 올해 만기 도래 '2200억'
- [thebell note]장세욱의 싸움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