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배당성향 확대' 풍부한 현금 주목 연결기준 30→35%, 실적 부진 불구 현금창출력 바탕 순현금 3300억
김혜중 기자공개 2023-12-08 07:24:26
이 기사는 2023년 12월 07일 07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이 부진한 실적을 거듭하면서도 배당성향을 확대했다. 낮은 부채비율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으로 배당금 지급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29일 중장기 배당정책 변경을 공시했다.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의 30%를 유지하던 배당성향을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5%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초 배당성향을 향후 3년 이내 30%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공시한 지 3년 만의 정책 변경이다.

지속되는 실적 부진 속에 주주 달래기 정책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으로 2조 747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74억원으로 44% 줄었다.
2017년부터 본격화된 중국발 악재에 코로나19 타격까지 이어지며 아직까지 이전 실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개선이 더딘 상황 속 배당성향을 조정하며 장기 배당이익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주주가치를 보장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실적은 회복하지 못하고 있지만 보유 현금성 자산은 늘어나고 있다. 올해 3분기 말 별도기준 아모레퍼시픽이 보유한 순현금은 3351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5% 증가한 245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당기순손익에 비용, 영업활동 자산·부채 변동사항 등을 가감해 도출된다. 영업이익이 줄어들면서 당기순이익은 감소했지만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과 감가상각비의 조정 등으로 1313억원이 계상되며 현금흐름이 개선됐다.
이렇게 확보한 수익을 바탕으로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에 자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1098억원의 현금이 남아 현금성 자산으로 축적됐다.

주목할 점은 재무활동을 통한 현금 유출 대부분을 배당금이 차지한다는 것이다. 올해 3분기 기준 재무활동현금흐름은 -515억원을 기록했다. 그 중 배당금 지급이 91%를 차지한다. 작년에도 749억원의 현금유출 중 배당금으로만 676억원이 빠져나갔다.
부채비율이 낮아 상환을 위한 자금 유출이 발생하지 않는 덕분이다. 올해 3분기 말 별도기준 아모레퍼시픽의 부채비율은 8.8% 수준이다.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돈으로 주로 투자와 배당금 지급에 지출이 이루어지는 구조다.
한편 아모레퍼시픽은 2024년 5월부터 코스알엑스를 자회사로 편입한다. 편입 시 코스알엑스의 실적이 아모레퍼시픽의 연결기준 실적에 반영된다.
가장 최근 실적이 발표된 2023년 반기 기준 코스알엑스의 반기순이익은 587억원이다. 같은 기간 아모레퍼시픽의 연결 기준 반기순이익은 1090억원이다. 코스알엑스의 실적이 아모레퍼시픽에 반영될 시 당기순이익도 크게 올라 현금배당총액도 덩달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편입 후 배당에 대해선 순이익 편입이 회계상 어떻게 반영될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아직 확정적으로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하나투어, '효율화' 성과…경영 정상화에 '매각 시동'
- 이월드 품은 이랜드월드, 손상차손 '400억' 반영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하나투어, 코로나가 불러온 '경영 효율화' 필요성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회생계획안 둘러싼 논의, '강제인가' 가능성 무시 못해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콜마비앤에이치, 자본효율성 '방점'…투자 성과 '과제'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Company Watch]이랜드월드 패션부문, 최대 실적에 재무구조 개선 '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현대지에프홀딩스 "상표권 사용료 CI 개발이 우선"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농심, 홈플러스에 '최소 100억' 묶였다
- [대상그룹 톺아보기]주춤한 건기식 사업, M&A로 성장 여력 열어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