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동남아 친환경 기술제휴 넓히는 이유 인니·베트남·태국과 기술 MOU…'탄소제로' 로드맵 발맞추는 포트폴리오 전환
허인혜 기자공개 2024-01-31 10:56:59
이 기사는 2024년 01월 29일 17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서 잇따라 친환경 기술공급 제휴를 체결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6개월 만에 거둔 성과다.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두산에너빌리티와 탄소제로 로드맵을 구축하기 시작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니즈가 맞물린 결과다.두산에너빌리티는 태국전력청(EGAT)과 탄소 활용과 무탄소 발전기술에 대한 공동연구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태국 전력 사용량의 33%는 EGAT이 생산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EGAT은 태국에서 운영 중인 발전소에 CCUS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CCUS 기술은 탄소 포집·저장·활용 등의 탄소저감 기술이다. 무탄소를 위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암모니아 혼소, 신재생, 수소 등의 발전 기술도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지난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와도 친환경 연료전환 기술전수와 사업 추진 등의 MOU를 맺은 바 있다. 2023년 6월 응이손2 발전소 사업자인 한국전력과 마루베니, 도호쿠전력 합작사와 함께 친환경 연료 전환에 팔을 걷기로 했다. 베트남 발전사 PV 파워와 암모니아 혼소 사업을 추진하고 베트남 전력청 산하 자회사 EVN GENCO3와 친환경 연료 전환 기술 개발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와도 지난해 9월 협약을 맺었다. 인도네시아 전력청(PT. PLN)의 발전자회사인 인도네시아파워와 맞손을 잡았다. 인도네시아파워는 20G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인니 내 최대 전력 공급사다. 역시 암모니아 혼소 등 대체 에너지 기술개발 등으로 배출 탄소를 줄인다는 목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탄소제로 로드맵을 속속 세우기 시작하면서 두산에너빌리티가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도네시아는 조금 더 늦은 2060년까지 단계적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협약으로 이미 시장에 진출한 베트남 등에서는 고객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고, 그렇지 않은 국가에서는 잠재적 고객을 양산하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폭발적인 성장력도 한 몫을 한다. 베트남은 2017년에는 태양광 발전량이 없다시피했지만 5년 만인 2022년 전체 전력 수요의 11%를 태양광으로 채울 만큼 전환이 빨랐다. 전환에 속도가 붙었지만 석탄 사용량도 전체 베트남 발전원의 절반을 차지할 만큼 많은 나라다. 전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신재생 에너지를 4대 성장사업으로 정하는 한편 풍력과 수소터빈, 소형모듈원전(SMR) 등의 친환경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친환경 사업 비중을 2027년까지 82%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한화 지분 절반 넘겼다…'장남 승계' 굳히기
- '햇볕 든' 조선사업...HJ중공업, 상선·특수선 고른 성장
- 한화에어로 '상세한' 설명에...주주들 "유증 배경 납득"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영업현금으로 투자금 충당? 한화에어로 "비현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