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정책 리뷰]예측 가능성 높인 휠라홀딩스중장기 주주환원 규모 제시, 나이키·아디다스보다 환원율은 낮아
김형락 기자공개 2024-02-26 08:16:18
[편집자주]
분기·연간 실적 발표 때마다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기업이 발표하는 배당정책이다. 유보 이익을 투자와 배당에 어떤 비중으로 안배할지 결정하는 건 최고재무책임자(CFO)의 핵심 업무다. 기업마다 현금 사정과 주주 환원 정책이 다르기에 재원 마련 방안과 지급 방식도 각양각색이다. 주요 기업들이 수립한 배당정책과 이행 현황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2월 16일 07시2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휠라홀딩스는 글로벌 패션 기업인 나이키, 아디다스보다 예측 가능성이 높은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했다. 2022년 중장기 사업계획인 '휠라 5개년 전략'에 주주환원 규모와 방법 등도 담았다. 주주환원율은 나이키, 아디다스보다 낮은 편이다.휠라홀딩스 이사회는 지난 14일 지난해 결산 배당으로 451억원을 결정했다. 배당금은 다음 달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지급할 예정이다. 지난해 지급한 분기배당(204억원)을 합한 연간 배당성향은 144%다. 휠라홀딩스는 연결 기준(이하 동일) 지배주주 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로 배당성향을 안내한다.

휠라홀딩스는 2022년 2월 발표한 휠라 5개년 전략에 담긴 주주환원 정책을 이행해가고 있다. 2022~2026년 합산 최대 6000억원을 주주환원에 활용하고, 2026년까지 지배주주 순이익 대비 주주환원을 최대 50%까지 상향한다. 2020년 배당성향 정책을 제정할 때는 연결 기준 지배주주 순이익의 5%를 배당금 총액으로 설정했다.
휠라홀딩스는 현금배당 위주로 주주환원을 진행한다. 목표 실적 달성 여부에 따라 특별배당도 검토할 수 있다. 2026년 실적 목표는 매출액 4조4000억원, 영업이익률 15~16%다. 자사주 취득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검토할 계획이다.
휠라홀딩스 주주환원 정책은 나이키, 아디디스보다 구체적이다. 중장기 주주환원 규모를 금액으로 밝힌 곳은 휠라홀딩스뿐이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는 중장기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만 목표 금액을 제시한다. 나이키는 명시적인 배당정책이 없다. 아디다스는 배당성향 목표 범위를 안내한다.
나이키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분기 배당금을 공표한다. 지난해 11월 주당 0.34달러(총액 5억2600만달러, 약 7014억원)였던 분기 배당금을 0.37달러(총액 5억6500만달러, 약 7534억원)로 증액했다. 자사주 매입은 2022년 6월 발표한 4개년 계획(총 180억달러, 약 24조48억원)을 이행 중이다.
아디다스는 배당정책과 중장기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공개한다. 배당성향은 30~50%를 목표로 한다. 2022년 결산 기준 주당 배당금은 0.7유로로 배당성향은 49.2%였다. 자사주는 기존에 발표한 프로그램에 따라 2022~2025년 최대 40억유로(5조7219억원) 규모로 매입할 계획이다.

자본변동표를 기준으로 본 주주환원율은 각 사마다 달랐다. 주주환원율은 당기순이익에서 배당금,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나이키와 아디다스는 연간 주주환원율이 100% 넘을 때도 있었다. 휠라홀딩스는 주주환원율이 30%대다.
최근 주주환원율은 나이키가 가장 앞섰다. 나이키는 2022년 4분기 누적(2021년 6월~2022년 5월) 기준 97.3%였던 주주환원율이 △지난해 4분기 누적(2022년 6월~지난해 5월) 기준 149.3% △올해 상반기 누적(6~11월) 기준 113.1%를 기록했다. 지난해부터 주주환원 규모가 순이익보다 컸다. 나이키는 5월 결산 법인이라 12월 결산 법인인 아디다스, 휠라홀딩스와 보고 기간이 다르다.

아디다스는 2022년 연간 주주환원율이 490.9%를 기록했다. 2019~2021년 연간 주주환원율은 60~70%대였다. 2022년 리복 매각 수익을 반환하기 위해 그해 3~10월 추가로 15억유로(약 2조1468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실행해 주주환원 규모가 커졌다.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주주환원율은 36.5%다.
휠라홀딩스는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주주환원율이 33%다. 휠라홀딩스 종속기업인 아쿠쉬네트 홀딩스(Acushnet Holdings,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등이 집행한 주주환원을 포함한 지표다. 휠라 5개년 전략을 실행한 2022년(30.8%)부터 주주환원율은 30% 선을 웃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슈 & 보드]한화에어로, 이사진이 요구한 공모 유증 규모 축소
- [주총 안건 리뷰]케이프, 2대주주가 정관 개정 요구하는 이유
- [주총 안건 리뷰]율촌화학, 감사위원회 공석 채울 방안은
- [주총 안건 리뷰]태광산업, 사추위 추천 후보 1명 부결된 이유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많은 보상 바라지 않아…소득은 본업에서 창출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연간 50~100시간 할애...자료 사전 검토는 필수
- [주총 안건 리뷰]HL만도, 8년 만에 부결 안건 나온 이유는
- [이슈 & 보드]SK오션플랜트, 2대·3대주주 이사회에 자리 요구
- [그룹 & 보드]SK그룹, 이사회서 KPI 이중·삼중 점검
- [그룹 & 보드]SK이노베이션, 연간 100건 넘는 의안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