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직격탄' 네오밸류, 희망퇴직 카드 꺼냈다 60% 감축 목표, 용산 나진상가 이어 누디트 서울숲 매각 착수
전기룡 기자공개 2024-04-19 08:01:43
이 기사는 2024년 04월 18일 07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라이프스타일 디벨로퍼로인 네오밸류가 악화된 업황으로 부침을 겪고 있다. 새 먹거리였던 '용산 나진상가 개발사업'을 채권자에게 처분한데 이어 최근에는 본사로 활용하고 있던 '누디트 서울숲'을 내놨다. 성장보다는 생존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탓에 희망퇴직 카드까지 꺼낸 것으로 보인다.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오밸류는 지난 16일까지 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접수를 받았다. 인력 규모를 60%가량 감축하는 게 목표다. 네오밸류의 직원 수는 계열사를 포함해 70여명정도로 알려져 있다. 목표대로 인원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40여명가량을 내보내야 한다.
네오밸류가 희망퇴직 카드를 꺼내든 배경에는 악화된 업황이 주효했다. 레고랜드 사태와 고금리 기조가 맞물리면서 네오밸류가 영위하고 있던 부동산 개발·투자업이 차질을 빚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리파이낸싱하는 과정에서 몇 차례나 기한이익상실(EOD) 요건에 처할 위기도 넘겼다.
계속된 리파이낸싱 부담은 네오밸류가 용산 나진상가 개발사업을 처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네오 용산 프로젝트'라는 이름 하에 추진 중이던 사업이다. 네오밸류는 2년 전 95% 지분을 보유한 용산라이프시티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를 앞세워 나진상가 15·17·18동을 매입한 바 있다.
용산라이프시티PFV를 차주로 일으킨 PF 대출 규모는 2800억원이다. 트랜치A 2000억원과 트랜치B 570억원, 트랜치C 230억원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블리츠자산운용으로부터 300억원의 자금을 대여했다. 초기에는 나진상가 15·17·18동에 직주락(職住㦡)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개발을 추진하기 어려운 업황에 직면하자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나진상가 15·17·18동을 처분하기로 결정했다. 용산라이프시티PFV 지분을 일부 혹은 전체 매각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그 결과 이지스자산운용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지만 조달 문제로 인해 딜 클로징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나진상가 15·17·18동에 대한 매각 작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PF 대주단이 만기 연장을 거부했다. 이에 자금을 대여했던 블리츠자산운용이 직접 용산라이프시티PFV 지분을 인수했다. 네오밸류로서는 EOD가 발생하기 직전 PFV 지분을 매각해 일정부분 유동성을 확보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다만 용산라이프PFV 지분 매각에도 네오밸류는 여전히 유동성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네오 오산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사업을 놓지 못한 영향이다. 네오 오산 프로젝트는 경기 오산시 청학동 188 일원에 공동주택 2616가구 등을 조성하는 걸 골자로 한다. 해당 사업장의 PF 대출규모는 1600억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네오밸류는 최근 본사로 활용 중인 누디트 서울을 매각하기로 결정하고 컬리어스코리아를 매각 자문사로 선정했다. 특히 '누디트' 브랜드가 네오밸류를 상징하는 복합 문화공간 브랜드라는 점에 미루어 회사가 여전히 유동성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시장 관계자는 "네오밸류가 나진상가 15·17·18동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큰 손해를 입지 않았지만 미래 일감면에서는 상당 부분 위축된 상태"라며 "PFV 지분 매각에도 유동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회사도 직원들로부터 희망퇴직을 받아 비용 감축에 들어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네오밸류의 입장을 듣기 위해 몇 차례 연락을 취했으나 답을 얻지 못했다. 네오밸류는 2005년 미래에셋대우 출신의 손지호 대표가 설립한 디벨로퍼다. 서울 강남 세곡지구와 경기 위례신도시, 광교신도시 등에서 프로젝트를 다수 성공하며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누디트 브랜드를 앞세워 홍대, 서울숲 사업장을 준공한 이력이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제일엠앤에스 시장복귀 여정]거래소에 상폐 이의신청서 제출 '해명절차 착수'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라구나인베·TS인베, 신기술 분야서 문체부와 인연 물꼬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IP직접투자, 카스피안캐피탈 선정…KVIC 첫 인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이변 없었던 '문화일반', 케이넷투자 2관왕 달성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핑크퐁' 스마트스터디벤처스, 'IP 분야' 재도전 성공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수출분야, 문화투자 VC 싹쓸이…크릿벤처스 '재수' 성공
- [i-point]신테카바이오, AI슈퍼컴퓨팅 센터 ‘ABSC’ 홈페이지 오픈
- 금호건설,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순항'
- [디아이동일 줌인]동일알루미늄 흡수합병, 경영 효율성 '방점'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아이동일 줌인]동일알루미늄 흡수합병, 경영 효율성 '방점'
- 서부T&D, 숙원사업 '도시첨단물류단지' 또 다시 연기
- [i-point]'FSN 계열' 부스터즈,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 [Company Watch]'상폐 소송전' 대유, 지배구조 개편 진정성에 달렸다
- [i-point]씨아이테크,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본격 진출
- [i-point]아나패스,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시리즈' 양산 참여
- [i-point]FSN, 70억 유상증자 실시…주요 창업가 참여 눈길
- [제노코 줌인]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밸류체인 구축 목표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제노코 줌인]시정조치 받은 기업 사례 '우수수', 개선안 후속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