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회장 "본질은 혁신신약''상장 3년 PBP1510 본임상 안착, IDC 개소 '엔드 투 엔드' 모델 확충
최은수 기자공개 2024-05-07 09:09:40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2일 14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혁신신약 개발 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2021년 2월 2조원의 몸값으로 코스피로 직상장했다. 당시 시장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를 '넥스트 셀트리온'으로 정의하고 바이오시밀러 개발 역량에 초점을 맞췄다. 당시 셀트리온은 기업가치 수십조원의 빅바이오텍이었다. IPO 포지셔닝이 필요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에 있어선 '나쁘지 않은 오해'였다.3년 만에 다시 더벨을 만난 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회장은 예나 지금이나 프레스티지바이오그룹의 본질은 바이오시밀러가 아닌 '혁신신약'에 있다 말한다. 상장 당시 전임상에 있던 대표적 난치암 췌장암 치료제는 이젠 본임상 문턱을 넘었다. 창업 정신을 담은 '불가능을 가능케'라는 캐치프레이즈의 현실화도 좀 더 다가왔다는 설명이다.
◇췌장암 신약 PBP1510 임상 안착 "진단·치료 동시에"
2021년 상장 후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에 찾아온 변화는 크게 세 가지였다. 선도 파이프라인인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HD201는 EMA 품목허가 재도전에 들어섰고 CDMO에 주력하는 관계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상장 후 턴어라운드 채비를 갖췄다. 신약 파이프라인을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해 10종으로 확충한 것도 주목할 사안이다.

이 모든 변화가 3년 사이에 나타났다. 바이오벤처의 일반적인 타임라인과 놓고 보면 상당한 속도감이다. 박 회장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차원에서 가장 큰 변화는 자체 특허 표적물질 PAUF를 활용한 혁신항체신약 특히 췌장암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재확인하고 본임상에 들어선 걸 꼽고 싶다"고 말했다.
상장 당시 피어그룹을 셀트리온으로 설정하고 프레스티지바이오그룹을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 이해한 시장의 판단 또한 어느 정도 일리는 있다는 말을 덧붙였다. 다만 이제는 신약 개발을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담당하고 CDMO를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맡는 그룹의 사업 계획을 적확하게 시장에 공개할 때가 왔다는 설명이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상장 후 PAUF 발현과 췌장암과의 연관성에 대한 자체 연구 결과를 대외적으로도 입증해 냈다. 현재 이를 통해 확립할 수 있는 사업화 계획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앞서 PAUF를 타깃하는 췌장암 신약 PBP1510 개발과 '췌장암 조기진단' 영역이다
박 회장은 "침묵의 살인마로 불리는 췌장암은 조기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아직까진 이를 명쾌하게 해결할 방법론이 없다"며 "언멧니즈가 큰 췌장암 신약 개발 외 생존율을 높이는 또 하나의 키워드인 진단기술에서도 가능성이 보인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현재 제일 먼저 오픈된 스페인 병원에서 10명의 환자를 모집해 투약을 진행했고 미국, 호주, 싱가포르 사이트가 오픈되면 환자 모집이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현재까지의 결과는 고무적이며 올해 3분기내 임상 1상에 대한 중간결과 분석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완공 앞둔 동남지역 최대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IDC… "상생 모델로 ESG 동시에"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새로운 분기점은 올해 3분기 신규사옥 완공을 예정한 혁신신약연구원(Innovative Discovery Center, IDC)이다. IDC는 앞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의 풀밸류체인 전략의 가장 앞단의 역할을 담당한다.

박 회장은 "IDC는 고유표적물질로써 자체발견한 PAUF와 CTHRC1단백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항체치료제 개발과 진단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며 "IDC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항체신약연구원으로써 혁신신약 개발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IDC 완공 후엔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추가할 계획도 내놨다. IDC는 부산 명지지구에 전체면적 3만1000여㎡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들어선다. 신약연구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박 회장은 "IDC는 세포주 개발 연구에 활용되는 항체 플랫폼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약개발 바이오벤처들에게 시설 및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고 향후 항체신약을 공동 연구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며 "다양한 기술과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이오 생태계에 공유하는 ESG 차원의 상생 모델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끝으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그룹의 헤드쿼터로 바이오시밀러와 신약 개발 전반을 담당하고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는 CDMO를 맡는다"며 "추후 IDC에서 항체신약 신규파이프라인을 발굴 및 개발하면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글로벌 임상을 맡고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하는 '엔드 투 엔드 밸류체인'이 완성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한증권 '콥데이' 문전성시…운용업계 참여 '후끈'
- 외면받던 TDF ETF, 3년만에 재조명 배경은
- 신한PWM '라운지형' 리뉴얼 속속…반포센터 벤치마킹
- "강남 VVIP 타깃, 리빙트러스트 특화점포 만든다"
- NH증권, 신흥국에 주목…미국 주식 비중은 축소
- 한투밸류, '글로벌리서치배당인컴' 월지급형 내놓는다
- [Deal Story]'실적 주춤' LX하우시스, '파트너 보강'에 회사채 흥행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소장'에서 물러선 증권사, 다음 스텝은
- [Deal Story]CJ제일제당, 공모채 조 단위 수요…금리도 '만족'
- [thebell note]VIP운용의 ‘최애 양성소’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OE 분석]삼성생명, '업계 맏형답지 않던 이익률' 관리 시작
- [CFO Change]고정석 SK가스 신재생에너지실장, 케미칼 재무총괄로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전문성 기업경영·재무 집중… 한층 두터운 BSM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후보는 누가 '천거'할까 사추위·경영진 막강한 입김
- [ROE 분석]농협금융, 반등했지만 '여전히 은행계지주 바닥권'
- [이슈 & 보드]롯데지주, 바이오로직스 또 베팅 '관세폭풍 두렵잖다'
- [Board Change]'전무 승진' 김성완 애경케미칼 CFO, 사내이사 연임
- 롯데의 '억울함'을 풀어줄 바이오로직스
- [ROE 분석]하나금융, 창사 최대 수익 성과...향후 계획은
- [ROE 분석]우리금융, '팬데믹 후 유일한 두자릿수'…2024년도 '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