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연체 리스크]우리금융캐피탈, 고위험 자산 '옥죄기'…연체율 진정세2%대까지 상승 이후 2분기 연속 하락…자동차금융 비중 늘려 안정성 확보
이기욱 기자공개 2024-05-20 12:50:21
[편집자주]
올해 제2 금융권의 최대 화두는 건전성 관리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며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신용 차주의 비중이 큰 카드사와 캐피탈사, 저축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연체 리스크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2금융권 각 금융사별 건전성 지표 흐름과 차주별 관리 현황 등을 심층 분석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6일 15시05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캐피탈이 급속도로 악화된 건전성 지표를 빠르게 회복해 나가는 중이다. 지난해 한때 연체율이 2%대까지 상승했지만 리스금융 중심으로 영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며 체질을 개선시켰다.상용차 캡티브(전속금융사) 전략 등을 활용해 자동차금융의 비중도 크게 확대했다. 사업 안정성이 높아진만큼 올해 건전성 관리도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대출 자산 10% 감소…신규 취급 제한에 상·매각 병행
우리금융캐피탈은 지난해 상반기 급격한 건전성 악화를 겪었다. 2022년말 0.98%로 매우 우수했던 우리금융캐피탈의 연체율은 1분기말 단 3개월만에 1.72%로 0.74%포인트 상승했다. 2분기말에는 0.31%포인트 더욱 악화되며 2.03%를 기록했다.
단 6개월만에 1.05%포인트나 상승했다. 상위 10개 캐피탈사 중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연체율 자체도 KB캐피탈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에 해당한다.
치솟던 연체율은 다행히 하반기 들어 진정세에 접어들었다. 3분기말 1.9%로 소폭 개선됐고 지난해말에는 1.64%로 전 분기 대비 0.26%포인트 낮아졌다. 전년말(0.98%)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지만 분기말 기준 지난해 1년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빠른 연체율 회복의 배경에는 우리금융캐피탈의 적극적인 체질 개선 노력이 있었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지난해 1년 동안 꾸준히 고위험 자산을 줄이는 작업을 진행해왔고 하반기 들어 점차 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2년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총 여신은 11조4638억원으로 전년말(11조2920억원) 대비 1.52% 증가했다. 전체 여신은 2022년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포트폴리오 구성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일반 대출이 7조5220억원에서 6조7642억원으로 10.1% 줄어들었고 리스금융이 2조2566억원에서 3조180억원으로 33.7% 증가했다. 할부금융은 1조4978억원으로 전년말(1조4821억원)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리스금융은 지난해말 0.19%의 연체율을 기록하며 할부금융(0.7%), 일반대출(2.3%) 등 타 사업 영역 대비 우수한 건전성 지표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일반 대출 중에서도 부실 위험이 높은 고위험 자산을 줄이는데 힘 쏟았다.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조2726억원에서 1조794억원으로 15.2% 감소했고 가계 신용대출 잔액도 1조1050억원에서 9244억원으로 16.3% 줄어들었다. 둘 모두 전체 일반대출 잔액 감소율(10.1%)을 상회한다.
신규 취급 축소와 부실 대출 자산 상·매각이 동시에 이뤄진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개인금융 이용실적은 9216억원으로 전년(1조2860억원) 대비 28.3% 줄어들었고 기업금융 및 신사업 취급액 역시 2조2027억원에서 1조4397억원으로 34.6%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금융채권(상각 후 원가 측정) 장부금액 상 대손상각 및 매각 규모는 1873억원으로 전년(655억원) 대비 3배 가량 증가했다.
◇자동차금융 비중 60% 육박…차주 신용도는 소폭 악화
높아진 사업 안정성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안정적 건정선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금융캐피탈은 지난해 리스금융을 늘리며 자동차금융의 비중을 크게 확대했다. 타타대우상용차 등과 캡티브 계약을 체결하는 등 상용차금융 시장을 집중 공략 하는 중이다.
나이스신용평가 등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우리금융캐피탈의 자동차금융 자산은 6조4746억원으로 전년말(5조8419억원) 대비 10.8% 증가했다. 전체 자산 대비 비중은 56.48%로 전년(51.7%) 대비 4.78%포인트 확대됐다.
자동차금융 중에서도 신용위험이 낮은 신차금융이 3조6791억원에서 4조3329억원으로 17.8% 증가했다.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높은 중고차금융은 1조5545억원에서 1조4484억원으로 6.8% 줄어들었다.
차주들의 신용도는 과거 대비 소폭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금융캐피탈은 감사보고서상 차주들의 신용등급을 1등급에서 16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할부금융의 경우 지난해말 1~5등급 고신용차주의 비중이 59.78%로 전년(65.11%) 대비 5.33%포인트 축소됐다. 반면 11~16등급 차주 비중은 9.86%에서 14.14%로 4.28%포인트 확대됐다.
일반대출 역시 1~5등급의 비중이 31.31%에서 28.22%로 3.09%포인트 축소됐다. 반면 11~16등급 저신용 차주 비중은 16%에서 20.95%로 4.95%포인트 확대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아이디언스, 일동제약 '신약 가치' 지킬 최후의 보루
- 지오영 '토탈 헬스케어' 속도, IT솔루션 신사업 추진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
- 퓨쳐켐 'ORR 60%' 숨은 의미, 규제기관·경쟁사와 다른 기준
- 에스바이오메딕스, PD '톱 데이터' 재확인 미국 3상 직행
- 'AUM 20조' 아치벤처파트너스, 'K-뷰티 의료기기' 주목
- 엠비디, 키야텍에 암 분석 플랫폼 L/O…'매출기반' 구축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개량신약' 중심 종근당, 녹내장약 '중단' 고혈압약 집중
- 에이비온의 '현금 마련' 전략, 자산처분에 투자유치까지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제일약품 체질 개선 이끈 온코닉, 확고해진 3세 승계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