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달린 스마트폰 시대]넥스트칩, 안정적 지배구조…모회사는 '지지부진'②앤씨앤과 주가 반비례, 사업 연계 밑그림 '아직'
김도현 기자공개 2024-06-12 08:07:49
[편집자주]
전기차, 자율주행 시장이 확산하면서 전동화를 위한 부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중 핵심이 차량용 반도체로 꼽힌다. 코로나19 국면에서 전례 없는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완성차업계가 공급망 재편에 나선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외산업체 독무대였다면 대기업부터 중견 및 중소기업까지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 생태계 확장에 한창인 국내 차량용 반도체 업계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6월 11일 08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넥스트칩과 앤씨앤이 분리된 이래 상반된 길을 걷고 있다. 김경수 대표-앤씨앤-넥스트칩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가 뼈대를 이루는데 모회사보다 자회사 덩치가 커진 상황이다. '쪼개기 상장' 논란이 불거진 배경이다.다만 오너인 김 대표를 중심으로 동반 성장할 방안을 찾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앤씨앤 사업 다각화, 주주가치 제고 활동 등도 착수한 상태다.
◇김경수 대표 지배력에도 앤씨앤 시총 급락
김 대표가 1997년 창업한 넥스트칩은 2007년 코스닥 상장했다. 이후 2019년 큰 변화를 겪는다. 자동차 전장 사업부가 물적분할하면서 넥스트칩의 명맥을 이어받았고 이 과정에서 모회사이자 영상 보안 사업부를 담당하는 앤씨앤이 탄생한 것이다.
2021년에는 최종현 앤씨앤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대표이사로 선임되면서 김 대표는 넥스트칩 대표이사직만 수행하게 됐다. 최 대표는 2005년 넥스트칩 경영기획팀장으로 입사한 인물이다.

비상장사로 있던 넥스트칩은 2022년 코스닥 상장하면 넥스트칩이라는 사명으로 2번의 기업공개(IPO)를 하게 됐다.
김 대표가 앤씨앤에서 물러나기는 했으나 최대주주 지위는 유지했다. 직접 이끌고 있는 넥스트칩은 앤씨앤이 최대주주다.
2024년 1분기 기준으로 김 대표는 앤씨앤 지분 18.77%를 보유 중이다. 김 대표는 올 3월 앤씨앤 사내이사로 선임되기도 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출신인 장지훈 사내이사(지분 6.90%)와 김동욱 사내이사(지분 6.90%), 최 대표(지분 0.18%) 등의 몫까지 합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은 32.76%다. 경영권 이슈에서 자유로운 수준이다. 앤씨앤이 넥스트칩 지분을 44.32% 갖고 있어 사업을 영위하는 데 차질이 없다.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했지만 앤씨앤 주주들의 불만은 현재진행형이다. 10일 기준으로 넥스트칩 시가총액이 2518억원인 반면 앤씨앤 시가총액은 393억원에 그친 탓이다. 넥스트칩 상장 전후보다도 약 2~3배 축소된 규모다.
넥스트칩 배당금까지 받는 앤씨앤의 몸값이 급락한 이유는 포트폴리오에서 비롯된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용 반도체 등을 다루는 넥스트칩과 달리 앤씨앤은 블랙박스가 주력이다. 부가가치 측면에서 차이가 분명하다. 이 때문에 중장기적인 비전도 떨어지는 편이다.
넥스트칩과 앤씨앤은 공교롭게 주가도 반비례한다. 올 2~3월 앤씨앤이 급등하는 동안 넥스트칩은 힘을 못 냈다. 뜨거웠던 앤씨앤이 급속도로 식어가자 오히려 넥스트칩은 반등하는 흐름이다.

◇메인 고객 돌아온 앤씨앤, 살아날 수 있을까
앞서 앤씨앤은 자회사 베이다스와 합병을 단행했으나 효과는 아직이다. 베이다스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 특화된 업체다.
불행 중 다행으로 시너지 기대감이 솟아나고 있다. 앤씨앤이 상용차 안전운전시스템 시장에 진출한 영향이다. 앤씨앤은 관련 브랜드 '뷰로이드CV'를 론칭했다. 첫 제품으로 상용차 우회전 시 사각지대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CVD-H210'을 선보였다.
앤씨앤에 따르면 카메라 1대로 운전석 전방 및 보조석 측방을 한 번에 보여주고 인공지능(AI) 인식 기능을 통해 운전자에 알람을 줘 우회전 시 사각지대를 없애주는 시스템을 완성했다. 추후 넥스트칩의 ADAS 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분야다.
또한 주요 고객인 F사가 블랙박스 자체 개발에 나섰다가 수익성 등을 고려해 주문을 재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신사업과 주력이 정상궤도에 오르면 앤씨앤의 적자 탈출도 노려볼 수 있다.
김 대표의 의지도 앤씨앤 주주 입장에서 기대 요소다. 물적분할 당시 주주환원정책을 약속한 김 대표는 현물배당 등 여러 보상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김 대표는 한국팹리스산업협회 2대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전방시장 활성화, 협력 프로젝트 등도 모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삼성디스플레이, '7세대 폴더블폰' 패널 양산 돌입
- [경동나비엔은 지금]보일러·온수기 노하우, '240조 시장' HVAC에 녹인다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CAPEX 톺아보기]LGD, 2000억 추가 확보 '8세대 대신 6세대 OLED 올인'
- [상호관세 후폭풍]전자제품 여전히 '영향권', 삼성·LG 대응 본격화
- 하나마이크론, 'SK 연결고리' 베트남 관세 예의주시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삼성·LGD, 공장까지 내줬다 '중국 공세 속 고전'
- [삼성전자 북미 대관조직 분석]'팀→실 격상' GPA, 트럼프 리스크 최소화 특명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