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AI 스타트업 창업 나선다 법인명 '오픈리서치', 3분기 첫 서비스 출시…아이언맨 '자비스' 연상, 버추얼 어시스턴트 예고
이영아 기자공개 2024-06-21 07:37:07
이 기사는 2024년 06월 19일 08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사진)가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창업에 나선다. 검색엔진 혁신을 목표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결정이다. '버추얼 어시스턴트(Virtual Assistant)' 개발에 방점이 찍혔다. 최소기능제품(MVP)을 여럿 개발해 전략을 탐색 중이다. 마블 영화 속 아이언맨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는 '자비스'처럼 똑똑한 AI 비서를 우선 구현한 상태이다.19일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카카오에서 독립해 스타트업을 창업한다. 법인명은 오픈리서치(Open Research)로 정했다. 리서치(검색)를 널리 퍼트려 세상에 기여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단순 정보의 나열에 머무는 검색엔진에서 벗어나 'AI 비서'처럼 작동하는 만능 검색엔진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김 대표는 카카오 AI 연구개발(R&D)을 주도한 '키맨'으로 꼽힌다. 지난 2012년 카카오에 입사한 후 10년 만에 초고속 승진해 카카오브레인 사령탑에 올랐다. 2021년 카카오브레인 대표 취임 당시 그의 나이는 33세에 불과했다. 카카오 그룹 내 최연소 대표로 화제가 됐다.
1988년생인 김 대표는 고려대에서 산업공학과 학사, 연세대에서 컴퓨터공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에 카카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입사해 AI 관련 연구개발을 수행했다. 2018년부터는 카카오브레인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팀에 AI 엔지니어로 합류해 컴퓨터 비전, 데이터 증강 기술, 의료진단 등 다양한 AI 연구개발을 주도했다. 2021년 카카오브레인 대표로 선임된 뒤 그룹의 AI 연구개발을 이끌었다.
카카오브레인 소속 엔지니어 일부는 김 대표와 함께 창업에 나서며 동행을 이어간다. 카카오브레인 내 헬스케어팀은 별도 스핀오프 예정이다.
오픈리서치의 첫 서비스는 이르면 3분기 출시 예정이다. 클로즈베타서비스(CBT)로 우선 선보이며 시장성을 검증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대표는 "버추얼 어시스턴트 관련 고객 피드백을 빠르게 수렴하고자 한다"며 "7월 중 클로즈베타를 오픈한 뒤 퍼블릭베타를 순차 론칭할 것"이라고 했다.
오픈리서치의 버추얼 어시스턴트는 정확한 정보를 텍스트 혹은 대화 형식으로 즉각 제공하는 개인 비서 형태를 띤다. 영화 '아이언맨'에서 묘사된 자비스와 닮은 형태다.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반응 속도가 기존 검색엔진 이상으로 빠른 것이 특징이다.
'스타 개발자' 김 대표의 독립 소식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미 서비스 사용 관련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기업소비자간거래(B2C), 기업간거래(B2B) 양쪽으로 서비스 도입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특히 리서치 업무가 많은 컨설팅 업체를 중심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스타트업의 장점을 살려 다양한 MVP를 개발해 가설을 검증하고 사업성을 증명해 갈 예정이다. 궁극적인 목표는 검색엔진에 특화한 파운데이션 모델을 직접 개발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기술·이용자경험(UX)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알고리즘을 개발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영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수진 야놀자 대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 확대"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판례검색→AI' 사업 확장…M&A 예고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창업초기 일반, L&S·위벤처스·HB인베 각축전 예고
- [VC 투자기업]야놀자, 솔루션 사업 매출 비중 30% 첫 돌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창업초기 소형, '첫 도전' AC 치열한 경합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신설' 콘텐츠육성, 문화투자 신흥강호 '2파전'
- [VC 투자기업]발란, VC 릴레이 손실 처리…기업회생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