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사업구조 재편]하나되는 '밥캣·로보틱스', 왜로봇사업 투자 속도 낼 듯…두산테스나는 첨단소재 사업 중심에
이호준 기자공개 2024-07-12 13:27:03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1일 18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인적분할돼 떨어져 나가는 두산밥캣이 두산로보틱스의 완전 자회사가 될 예정이다. 합병 및 포괄적 주식교환을 거쳐 두산로보틱스의 자회사로 편입되는 형태인데 이에 따른 이점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두산밥캣은 해마다 대규모의 배당금을 모회사에 제공하는 알짜 계열사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밥캣을 떼어내 차세대 에너지 사업에 집중하고,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알짜 회사' 취한 두산로보틱스, 투자활동도 빨라지나
두산그룹은 11일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 스마트 머신과 클린에너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등 3대 부문으로 그룹을 재편하는 게 이번 안의 핵심이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가 발생한 건 스마트 머신 쪽이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자회사인 두산밥캣이 인적분할돼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한다. 이후 두산밥캣은 포괄적 주식교환 등을 거쳐 두산로보틱스의 완전 자회사가 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두산로보틱스는 두산밥캣의 파이낸싱 역량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건설과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각종 소형 장비를 만드는 두산밥캣은 올해 1분기 말 연결기준 보유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이 1조7684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두산밥캣은 두산에너빌리티에 715억원의 배당 수익을 안기기도 했다. 이제부터는 두산로보틱스의 곳간이 빠르게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작년 10월 기업공개(IPO)로 약 4200억원을 조달한 두산로보틱스는 현재 약 3700억원 정도가 남아있다.
두산로보틱스의 투자 시계도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두산로보틱스가 속한 협동로봇 업계는 개발에 필요한 기술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발 앞서 나가기 위해 주요 기술기업을 인수합병(M&A)하는 식의 과감한 투자가 예상된다.
◇차세대 에너지 가속화 두산에너빌리티, 첨단소재 중심에 선 두산테스나
두산밥캣을 떠나보낸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스·수소터빈, 해상풍력 사업, 즉 클린 에너지 쪽에 집중한다. 본격적으로 차세대 에너지 시장이 열리고 있는 만큼, 시장 선점을 위해 빠른 결정을 내린 모습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플랜트 전문 기업 가운데 그 어느 곳보다도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왔다. SMR 시장에서 뉴스케일파워 등 선도기업과 협력 관계를 강화해 왔고, 국내 최초로 수소액화플랜트를 건설하기도 했다.
재무구조도 탄탄한 만큼 지속적인 투자를 뒷받침할 여력도 충분하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올해 1분기 말 별도 기준 보유 현금은 7406억원이고,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 역시 각각 132%, 23%로 시장에서 적정선으로 여겨지는 수준이다.
반도체 및 첨단소재 쪽은 두산테스나를 중심으로 사업을 넓힌다. 두산테스나는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기업이다. 반도체, 휴대폰,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전자소재 생산 등을 하고 있는 그룹 내 관련 사업이 이 부문에 포함된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혼재돼 있는 사업들을 시너지가 날 수 있는 사업끼리 모아서 클러스터화하는 게 이번 사업 재편의 목적"이라면서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 3사 모두 '윈-윈-윈'할 수 있도록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
-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MBK와 장기전 돌입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 일관 제철소 '승부수' 현대제철, 강관 동반 '미지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제철 첫 해외생산 '루이지애나'...무게중심은 여전히 국내
- 포스코퓨처엠 '흔든' UBS 보고서 "집중이 성장 막는다"
- 장세욱 동국홀딩스 부회장 "대미 투자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