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비상장사 지분 인수' 인크레더블버즈, 최대주주 자금 회수21.9% 취득, 유증 납입 대금과 일치하는 200억 수준
양귀남 기자공개 2024-09-26 08:50:27
[편집자주]
코스닥 상장사는 인수합병(M&A) 시장에 수시로 등장한다. 사업 시너지 창출을 위해 원매자를 자처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경영악화로 인해 매각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상황에 따라 연간 수차례 손바뀜이 일어나는 곳도 더러 있다. M&A를 통해 한단계 올라서거나 아예 회생불가능한 상황에 처하는 등 사례는 각양각색이다. 더벨이 매물로 출회된 코스닥 상장사의 기회 요인과 리스크를 함께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25일 15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크레더블버즈가 자회사로 내린 현금으로 비상장사를 매입했다. 해당 비상장사는 최대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법인이다. 비상장사 지분 매입에 활용한 자금이 최대주주가 납입한 유상증자 대금과 일치하면서 최대주주가 자금을 회수하는 모양새다.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인크레더블버즈는 자회사 인크레더블대부를 통해 모티바코리아 지분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200억원에 5148주를 취득했다. 거래 상대방은 인크레더블버즈의 최대주주 휴먼웰니스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이달 초 인크레더블대부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300억원을 투입했다. 인크레더블대부는 운영자금으로 100억원,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으로 200억원을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일찌감치 뷰티 유통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법인 인수를 예고했다. 대형 뷰티 유통 회사로 키우겠다는 복안이었다.
다만 인수 직전 방향을 선회했다. 인크레더블대부가 인수한 업체는 여성보형물을 제작해 판매하고 있는 모티바코리아다. 모티바코리아는 화장품 판매를 직접적으로 영위하고 있지 않다.
타법인 인수 과정에서 조건이 맞지 않아 인수 대상이 변경되는 경우는 종종 있다. 추가로 모티바코리아 우회상장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에서 모티바코리아 인수는 어느정도 예견이 가능했던 부분이다.
이로써 자금이 인크레더블버즈의 최대주주에게 돌아갔다. 모티바코리아의 최대주주는 휴먼웰니스로 인크레더블버즈의 최대주주다.
휴먼웰니스는 지난 7월 유상증자 200억원을 납입하며 인크레더블버즈의 최대주주에 올랐다. 두 달여가 지난 상황에서 이 200억원은 자회사를 거쳐 다시 휴먼웰니스에게 돌아갔다. 휴먼웰니스는 자금을 회수하면서 인크레더블버즈의 경영권과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비상장사 모티바코리아의 주식과 상장사의 주식을 교환한 셈이 됐다. 휴먼웰니스는 보호 예수기간만 지나면 인크레더블버즈 지분을 시장에서 처분할 수 있다. 비상장사 모티바코리아의 주식은 당장 유동화하기 어렵다.
인크레더블버즈는 지난 2019년부터 5년 동안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액 13억원, 영업손실 13억원을 기록했다. 결손금은 1000억원이 넘게 쌓여있고 외형도 회복이 더디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최대주주를 맞이해 시장에서는 회사 정상화를 기대했지만, 당장은 안정적인 흐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인크레더블버즈가 보유하고 있던 현금 100억원도 인크레더블대부로 흘러들어가면서 회사 상황 개선에 활용하지 못하게 됐다. 인크레더블대부가 비상장사인만큼 사용 내역을 면밀히 추적하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인크레더블버즈 입장에서 마지막으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오는 11월에 예정돼 있는 자금 조달이다. 전환사채(CB) 발행으로 400억원이 납입될 예정이다. 다만 지난달 납입될 예정이었지만 연기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
- 이지스운용, 두산건설 논현사옥 5년 만에 판다
- 키웨스트운용, 주담대 펀드 주목 받는 이유
- 변동성 장세엔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도 우수
- 중국 주목하는 미래에셋운용, 테마형 ETF 출시 검토
- 해외 투자 여전히 강세…자문형랩도 활발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CAPEX 톺아보기]현대글로비스, 1년 만에 300% 증액…탄탄한 재무 '뒷받침'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인크레더블버즈, '아미노검' 판매 준비 본격화
- 1등을 위한 엔켐의 '역발상'
- [Red & Blue]실적 회복 더딘 버넥트, 사업 확장 '분투'
- [Red & Blue]'실적 우상향' 삼륭물산, 탈플라스틱 공약 모멘텀 부각
- [i-point]광무, 50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이미지스, 재매각 대신 경영 정상화 '방점'
- '본업 순항' 파라텍, 외부투자 실패 '옥의 티'
- [i-point]메디에이지, IPO 주관사 하나증권 선정
- [i-point]투비소프트, '2025 파트너솔루션데이' 개최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돌파구 찾는 스코넥, 부동산 양수 '영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