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0월 10일 07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상상인그룹 저축은행의 매각 시계가 더디게 흘러가고 있다. ㈜상상인은 무려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두 곳을 매각해야 한다. 여러 원매자가 태핑을 시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오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혀 진전은 없는 답답한 상황이다.이 매각 작업은 저축은행업계 내에서도 중요하다. 전체 매각 시장의 '바로미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애큐온, OSB, HB, 민국, 한화저축은행 등이 줄줄이 매각을 기다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매각 작업이 정체된 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로 인해 업황이 위축된 영향 때문만은 아니라고 본다.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상상인 계열 저축은행의 매력도가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먼저 상상인저축은행은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영업권을 두고 있다는 강점이 있다. 경기권 기반의 저축은행 15곳 가운데 세 번째로 자산 규모도 크다. 충청권에 기반을 둔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자산 규모로 우리금융저축은행 다음이다.
저축은행업은 전체 79개사로 한정된 라이선스 사업이다. 금융당국이 더는 신규 인가를 내주지 않아 새로운 사업자가 진입할 수 없다. 저축은행업을 영위하기 위해선 기존 저축은행을 인수해야 한다. 지방소멸 현상 속 인구가 많고 수도권 기반 저축은행을 인수하는 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무엇보다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지역 내 의무여신비율도 기존 50%에서 30%로 낮아져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다.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은 대주주가 비수도권 저축은행을 네 개까지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충청권에서 두 번째로 자산 규모가 큰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이 여기에 해당한다.
규제 완화 조치에도 저축은행 M&A는 단 한 건도 성사되지 못했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트라우마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2년 새 업황이 급속도로 악화되면서 인수 매력도보다 리스크 요인이 더 부각됐기 때문이다.
넘어야 할 산이 또 있다. ㈜상상인과 금융당국과의 관계다. 두 저축은행이 원매자를 선택한다고 해도 규제산업인만큼 매각 시에도 금융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상상인과 금융당국은 행정소송 중이고 우리금융그룹과의 인수 절차도 무산된 바 있다.
상상인그룹이 모토는 '상상으로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것이다. 한때 저축은행 영업을 통한 지역발전과 서민과의 상생을 상상했으나 이젠 작별을 고하고자 한다. 매각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지만 매물 자체의 매력도가 희석돼선 안 된다. 두 저축은행의 매각이 성공해 정체된 M&A 시장에 활기가 돌고 구조조정을 통한 위기 극복을 이뤄내길 바라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자이에스앤디, 시행사 '러브콜' 수주잔고 3조 육박
- [건설리포트]HL디앤아이한라, '역기저효과' 속 자체사업 성과 기대
- [CFO 워치]김정훈 한신공영 전무, 신용등급 전망 개선 '첫 성과'
- [thebell note]부영이 그리는 '실버빛' 미래는
- GS건설, 자회사 '리밸런싱' 어디까지 왔나
- [2025 건설부동산 포럼]"기업형 임대주택 사업 '선순환 모델' 구축해야"
- GS건설, 이니마 매각 급물살 타나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선제적 토지 매각으로 리스크 해소
- [건설리포트]'1조 클럽 수성' 반도건설, 올해 실적 향상 카드는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SK에코플랜트, SK하이닉스 공장 준공에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