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0월 16일 07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술수출(L/O)은 규모가 작은 제약바이오 기업이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을 더 큰 기업에 넘기는 계약이다.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는데 1조~2조원의 비용과 평균 10년 이상 기간이 소요되지만 성공률은 10%가 채 안 된다. 그마저도 경험이 적은 바이오텍은 1% 남짓으로 뚝 떨어진다. 심장과 같은 기술을 빅파마에 넘겨 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아껴야 한다.L/O도 계약에 따라 질이 나뉜다. 따라서 바이오텍이 빠르게 기업가치를 높이려면 L/O의 질적 성장이 동반돼야 한다. 탄수화물과 지방,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해야 어린아이가 쑥쑥 자라는 이치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L/O 질적 성장의 정석을 보여준 예다. 리가켐이 항체약물접합체(ADC)로 첫 L/O 계약을 맺은 건 2015년. 중국 한정으로 맺은 바이오베터 계약임을 감안해도 총 계약규모가 200억원에 그쳤다. 이후 한동안은 리가켐의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 물질을 개발하는 소규모 딜 위주로 계약이 성사됐다. 아직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파이프라인이 무르익지 않아서다.
자체 파이프라인 개발에 속도를 올려 L/O 사례를 늘렸다. 5년 뒤쯤부터 성과가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자체 발굴한 후보물질을 3000억~4000억원대로 계약을 맺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후보물질의 임상 단계를 높여 전체적인 딜 규모를 확장했다. 그렇게 지난해 12월 글로벌 빅파마 얀센과 2조원대 빅딜이 성사됐다.
리가켐은 또 한 번의 질적 성장을 도모한다. 물질 하나만 파는 것이 아닌 플랫폼 기술을 함께 파는 '패키지 딜'을 추구한다. 거래규모뿐 아니라 반환 의무가 없는 선급금도 확대할 수 있다. 실제 10월 오노약품과 패키지 딜을 맺으며 전략이 성공적이었음을 입증했다.
리가켐의 사례는 바이오 사업개발(BD) 전략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잘 만든 신약과 기술을 잘 파는 것도 크나큰 경쟁력이다. 리가켐은 채제욱 부사장이 미국 현지에서 딜을 주도한다. 연구자 출신으로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L/O 전략을 수립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외부에서 이름높은 전문가를 영입하지 않아도 충분히 해낼 수 있다는 사례를 남겼다.
물론 연구개발 만으로도 생존이 버거운 바이오텍이 L/O의 질까지 고민하는 건 분명 버거운 일이다. 이쯤에서 리가켐 경영을 총괄하는 박세진 사장이 건넨 글 중 한 문구를 공유한다.
'리더는 깃발을 꽂는 사람이다. 그 깃발이 위대할수록, 일관성을 유지할수록 사람들은 깃발 밑으로 모여든다.' 리가켐이 뼈를 깎으며 사업 피봇(방향전환)을 단행하고 기술이 반환되는 고비를 겪으면서도 BD 강화와 L/O의 질적 성장을 고민한 이유다. 국내 바이오업계에도 충분한 귀감이 되리가 믿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투셀 IPO]든든한 자산 '사옥'에 100억 차입, 창업주 지분 사수 기반
- 유한양행 '렉라자 병용'이 쓴 생존기간 "치료기준 바꿨다"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R&D 전략 재수립, 후발주자에서 '퍼스트 무버' 입지로
- 루닛, 흑자전환 시점 연기…볼파라 효과 가시화는 '고무적'
- 60주년 맞은 휴온스, 윤성태 회장 복귀 "해외 사업 챙긴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삼양 바이오 새 수장 김경진 사장 "CDMO 글로벌 확장"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루닛의 새 조력자 이준표 SBVA 대표, '카이스트' 인연
- [이뮨온시아 IPO]자사주 활용한 신주모집 효과, 유한양행 '통 큰 결정'
- 조영제 신약 '인벤테라' 기술성평가 신청, IPO 첫발
- 에스테틱 진출 리메드, '클레오' 브랜드 각인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