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 통합법인 미리보기]열흘 뒤 출범, '물리적 결합'에 집중①합병기일 11월1일, 외형 통합 후 재무적 시너지 고민
김위수 기자공개 2024-10-24 09:54:27
[편집자주]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통합법인 출범이 얼마 남지 않았다. 두 기업의 합병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에너지 기업이 탄생하게 된다. SK그룹 리밸런싱 작업의 핵심이기도 하다. 합병에 앞서 큰 고비는 모두 넘긴 상태다. 앞으로 순항할 일만 남았을까. 더벨이 곧 출범할 SK이노베이션 통합법인의 모습을 조망해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2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그룹이 추진 중인 리밸런싱 작업에 있어 가장 큰 이벤트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이다. 석유·화학과 도시가스 각 영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온 두 계열사의 합병만으로 재계 10위 안에 드는 법인이 탄생하게 된다.이사회 결의부터 주주총회 통과, 주식매수청구권 방어는 물론 SK E&S가 보유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재계약 체결까지 해결해야 할 굵직한 난관은 모두 넘어섰다. 일부 실무적인 작업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오는 11월 1일로 열흘가량 남은 통합법인의 출범을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상태다.
◇내년부터 재무적 시너지 본격화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별도로 합병법인 출범식을 준비하고 있지는 않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내방송 등은 준비 중이지만 공식적인 행사에 대한 안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시일도 많이 남지 않았고 법인 통합으로 구성원들 숫자가 많아졌다"며 "출범식을 열더라도 거창한 규모는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합병법인의 사명은 SK이노베이션으로 SK E&S는 사내독립기업(CIC)으로 SK이노베이션에 통합된다. CIC의 명칭은 SK이노베이션 E&S다. 합병으로 인해 조직변동은 없다. 그동안 두 회사가 운영 돼온 것처럼 합병 후에도 SK이노베이션, SK E&S는 별개 기업처럼 움직인다. 인사·재무·법무 등 같은 기능의 스태프 조직들도 통합되지 않는다. 이사회가 일원화됨에 따라 이사회 사무국만 합쳐진다. 직원들을 대상으로 합병으로 인해 변할 것은 없으니 동요하지 말라는 당부가 이어졌다는 전언이다.
두 기업의 합병으로 그룹 및 SK이노베이션 차원에서 가장 기대하고 있는 재무적 시너지는 내년이 돼야 본격적으로 발생할 전망이다. 4분기의 중간인 11월에 합병이 마무리되는 만큼 SK E&S의 실적 중 11~12월 2개월 분만 SK이노베이션에 반영된다. 내년부터 SK E&S와의 재무적 시너지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셈이다. 이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올해 안에 합병을 마무리하는데 집중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손익계산서를 제외한 재무제표는 내년 초에 공개되는 2023년 사업보고서부터 두 회사의 통합본으로 작성된다. 통합 SK이노베이션의 예상되는 자산총계는 104조7122억원(2023년 2분기 말 재무제표 기준)에 달할 전망이다. 한 해 매출은 88조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5조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화학적 결합 방안 '고심'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의 배경에는 배터리 사업이 있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온에 대한 지원 여력을 늘리기 위한 차원의 사업재편이다. SK온은 2026년 말까지 기업공개(IPO)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런 만큼 SK E&S 측의 고심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이번 합병의 초점은 '물리적 결합'에 맞춰져 있다. 개별적으로 경영되는 두 회사를 SK이노베이션이라는 틀에 합쳐 위기를 넘기는 게 우선이라는 판단이다.
화학적 결합에 대한 고민이 없을 수는 없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제시한 통합 시너지는 EBITDA로 환산하면 2조2000억원 이상(2030년 기준)에 달했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제시하는 시너지 방안은 △운영 최적화(5000억원) △전력화 사업 시너지(1조7000억원) 등이다. 이중 사업 시너지를 합병을 통해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간의 융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는 통합법인의 안정적인 운영이 먼저라고 보고 있다. 나아가 합병의 배경이 되는 배터리 사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급선무라는 설명이다. 재계 관계자는 "우선 합병법인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사업 시너지를 발생시킬 방안에 대해서는 합병 후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대신증권, 5년간 제재 9건…내부통제 보완 절실
- [Rating Watch]삼성바이오로직스 신용등급 'AA0' 도약 '눈앞'
- '장기물 선호' 맥쿼리인프라, 5년 단일물로 회사채 발행
- [아이티켐 IPO]2차전지로 영토 확장, 소재사업 '확장성' 주목
- [IPO 모니터]기준 모호한 중복상장, SK엔무브 바라보는 후발 주자들
- SK이노베이션의 타이밍
- [아이티켐 IPO]SI·글로벌 투자자 유치, 비결은 '삼박자'
- [Market Watch]DN솔루션즈 이어 롯데글로벌까지, 대형 IPO '휘청'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흥행 실패 우려, 결국 상장 철회로 귀결
- [아이티켐 IPO]5년만에 실적 '레벨업' 가능했던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