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CXL 3.0 D램부터 자체 컨트롤러 적용 삼성전자도 CXL 컨트롤러 개발 나서 주목
노태민 기자공개 2024-11-04 07:18:56
이 기사는 2024년 11월 01일 15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컨트롤러 내재화를 준비 중이다. 포스트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CXL 메모리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다.현재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CXL D램에는 중국 팹리스 몬타지테크놀로지(몬타지)와 미국 램버스의 CXL 컨트롤러가 탑재되고 있다. 이를 CXL 3.0 메모리부터 자사 CXL 컨트롤러로 대체해 비용, 성능 등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CXL 3.0 D램 탑재를 목표로 CXL 컨트롤러를 개발 중이다. CXL 컨트롤러 생산은 TSMC 파운드리를 활용할 예정이다. 또 이를 위해 TSMC 밸류체인얼라이언스(VCA) 기업과 관련 프로젝트를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SK하이닉스는 이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컨트롤러 등을 TSMC를 이용해 생산하고 있으며, 차세대 HBM 로직다이도 TSMC 파운드리를 활용해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 양사는 지난 4월 차세대 HBM 로직다이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CXL은 PCIe 기반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SSD, D램 등을 연결하는 데 쓰인다. 업계에서 CXL 기술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메모리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D램은 메모리 슬롯만 활용할 수 있었다면, CXL D램은 PCIe 등 슬롯도 사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메모리 용량을 10배 이상 확장할 수 있다.
CXL 컨트롤러는 CPU 등으로부터 명령어를 받은 뒤 메모리를 제어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을 하는 시스템반도체다. SSD에 탑재되는 SSD 컨트롤러와 유사하다. 현재 CXL 컨트롤러 시장은 중국 팹리스 기업 몬타지와 미국 램버스가 양분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CXL D램에 탑재되는 CXL 컨트롤러는 모두 몬타지와 램버스 제품이다.
삼성전자도 CXL 3.0 D램 탑재를 목표로 자체 CXL 컨트롤러 개발하고 있다. 설계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가, 양산은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CXL 컨트롤러 자체 개발에 나선 이유는 향후 CXL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욜은 글로벌 CXL 시장 규모가 지난해 1400만달러(약 190억원)에서 2028년 160억달러(약 21조7488억원)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CXL 메모리의 핵심 부품인 CXL 컨트롤러 내재화해 제품 마진을 개선하겠다는 전략이다.
메모리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자체 CXL 컨트롤러 개발에 나선게 맞다"며 "CXL 3.0 D램에 탑재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성전자도 CXL 3.0부터 자체 CXL 컨트롤러를 적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융복합 테마파크' 모노리스, 대성파인텍 품에 안긴다
- [VC 투자기업]아이벡스메디칼, 140억 시리즈C 유치…IPO '시동'
- [VC 투자기업]앱테크 '마이비' 운영 원셀프월드, 프리A 오버클로징
- '정성재호' BNK벤처, 지역투자 선봉장 면모 '눈길'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약국 생태계 확장' 바로팜, 올해 1000억 매출 조준
- [VC 투자기업]'유전자 치료기술' 글루진테라퓨틱스, 50억 유치 순항
- [VC 투자기업]캐스팅엔,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2027년 상장 목표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패스그룹은 지금]승계 정공법 택한 오너일가, 상속세 '250억' 육박
- [Company Watch]양산 매출 늦어지는 에이직랜드, 1분기 '4.2억' 불과
- [Company Watch]SK하이닉스, 엔비디아에 '4.8조' 물량 메모리 팔았다
-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와 'TC 본더' 거래 재개
- [네패스그룹은 지금] 아픈 손가락 FO-PLP 중단, 대여금 회수 '미지수'
- 황철주 주성엔지 회장의 '혁신론'
- 삼성·SK, '하이 NA EUV' 달라진 투자 셈법
- 엠케이전자, 원가부담에도 '영업익 전년비 45%↑'
- [삼성 빅딜 리부트] 삼성전자, 공조+반도체 '패키지딜' 가능성↑
- [삼성 빅딜 리부트]2.4조 달하는 플랙트 인수 대금 '차입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