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People & Movement]이장원 삼천리인베 대표, 사장 승진…VC 사업 힘 싣는다삼천리그룹 임원인사…펀드 결성·투자 집행 성과 풀이
이성우 기자공개 2024-11-18 08:18:40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5일 11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내년 창립 70주년을 맞이하는 삼천리그룹이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을 단행해 이장원 삼천리인베스트먼트 대표를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시켰다. 이번 승진인사는 삼천리인베스트먼트의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형벤처캐피(CVC)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11월 신기술사업금융회사(신기사) 인가를 받은 이후 올해 100억원 규모 블라인드 펀드를 결성했다. 스타트업코리아펀드 초격차 분야 운용사(GP)로 선정돼 200억원 규모 펀드도 결성했다. 삼천리인베스트먼트의 운용자산(AUM)은 300억원이다.
◇올해 첫 펀드 결성한 삼천리인베…대표 직급 높였다

1968년생인 이 대표는 서강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장기신용은행과 한국씨티은행 등에서 근무했다. 대학교 동기인 박성호 대표와 2006년 SV인베스트먼트를 설립했다.
이 대표는 2020년까지 약 14년 동안 SV인베스트먼트에서 대표로 활약했다. 이 대표는 박성호 대표와 함께 SV인베스트먼트를 2018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시키기도 했다.
한동안 휴식기를 가진 이 대표는 2022년 9월 삼천리인베스트먼트 초대 대표로 영입됐다. 대표이사 선임 당시 직급은 부사장이었다. 이후 입사 2년만에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대표라는 직책은 그대로지만 직급이 올랐다.
이번 승진인사는 삼천리인베스트먼트의 펀드 결성과 본격적인 투자 시작에 따른 것이다.
삼천리그룹 관계자는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신기사 인가를 받은 이후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며 "사업 성과도 있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 지원과 더불어 (대표의 직급을)조직의 규모에 맞추기 위해 승진인사를 했다"고 전했다.
지난 5월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100억원 규모 블라인드 펀드 '삼천리제1호스노우볼투자조합'을 결성했다. 이 펀드를 통해 △메디인테크(인공지능 내시경) △비트센싱(레이더 솔루션) △스타스테크(불가사리 제설제) △밸런스히어로(인도 핀테크) 등 총 4곳의 기업에 투자했다. 총 투자금은 약 56억원이다.
또 스타트업코리아펀드 초격차 분야 GP를 따낸 회사는 지난달 편드 결성을 완료했다. 펀드 결성 금액 200억원 중 60억원은 모태펀드에서 출자했다. 이 펀드를 통해서는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케어, 친환경 에너지 등 유망 섹터의 스타트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모회사 지원 든든…삼천리인베, 신기사로 선택지 넓혀
모회사의 지원으로 삼천리인베스트먼트의 사업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회사는 지난해 3월 삼천리그룹으로부터 자본금 20억원을 출자 받아 설립됐다. 같은해 4월엔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삼천리그룹을 대상으로 28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펀드 결성 과정에서도 모회사의 지원이 이어졌다. 삼천리인베스트먼트의 첫 펀드 삼천리제1호스노우볼투자조합에 삼천리그룹은 50억원을 출자했다. 200억원 규모 2차 펀드에도 100억원을 출자했다.
자본금 요건 100억원을 훌쩍 넘겨 신기사 인가를 받은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추후 투자 방식과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신기사는 창업업투자회사(창투사)와 달리 투자대상이 넓고 의무투자 제약도 없기 때문이다.
삼천리인베스트먼트는 프리IPO 이전 기업뿐만 아니라 향후 △메자닌 △그로쓰캐피탈 △바이아웃 △사모펀드(PE) 등으로 투자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모회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적투자(SI)도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성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글로벌 AI 투자 '플레이어' 한국 VC
- 퀀텀벤처스, VSI 회수로 67억 확보…추가 성과금 기대
- 한투파, 450억 규모 펀드 만기 연장…성과보수 노린다
- [thebell interview]"웰콘시스템즈, 로보틱스 골드러시 시대 진 셀러 될것"
- 파두, 커지는 미국 관세 우려 속 아시아 공략 박차
- 한투파 초이스 '앤트로픽' 밸류 89조…AI 투자 혜안
- 주요 고객사 늘린 파두…수익원 다각화 성공?
- 삼호그린인베, 엘케이켐 첫 회수로 멀티플 5배 성과
- 휴젤 출신 모인 셀락바이오, 540억 시리즈A 막바지
- 모태 대신 성장금융 택한 쏠레어, 최대 펀드 결성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