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자이에스앤디, 수익성 저하…수주잔고 '든든'건축·주택 부문 '이중고', 실적 악화 불가피…양질 신규일감 기대
김서영 기자공개 2025-02-05 07:33:2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07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이S&D(자이에스앤디)가 이중고 속 실적 악화를 겪었다. 건축 부문에선 발주처 투자 시기가 조정되며 매출이 30% 넘게 감소했다. 여기에 주택 부문에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다만 양질의 신규수주를 기록하며 올해 전망을 밝혔다. 작년 말 수주 잔고는 전년보다 5% 이상 늘어났다. 수익성 악화의 원인이었던 주택 부문에서 신규수주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올 들어 실적 반등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연간 순이익 두 자릿수…매출·수익성 악화 '이중고'
자이에스앤디는 지난해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 1조5782억원, 영업이익 23억7624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33.54%, 영업이익은 98.12% 감소했다. 연간 순이익은 66억4397만원으로 전년(94억9980만원) 대비 93.01% 줄어드는 등 수익성 악화가 두드러졌다.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은 건축 부문 때문이다. 작년 연결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은 △건축 부문 1조476억원 △주택 부문 2473억원 △Home Solution(HS) 부문 2833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2023년 건축 부문 매출액은 1조8195억원으로 1년 만에 42.4% 줄었다. 이는 곧 전체 매출액 감소로 직결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익성도 위축됐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탓에 주택 부문 수익성이 크게 나빠졌다. 작년 연결 기준 사업 부문별 영업이익은 △건축 부문 150억원 △주택 부문 -408억원 △HS 부문 282억원 등이었다. 전년 말 12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주택 부문에서 적자가 확대된 모습이다. 여기에 건축 부문 영업이익도 82.9% 줄어들었다.
4분기로만 보면 적자로 전환했다. 작년 4분기 영업손실은 18억원으로 나타나며 전년 동기 영업이익 200억원이었던 것과 대비해 크게 줄었다. 이에 연간 순이익이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순이익은 2022년 151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3년 950억원, 지난해 66억원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자이에스앤디 관계자는 "작년 연간 매출액이 감소한 원인은 건축 부문에서 발주처 투자 시기 조정이 이뤄진 영향"이라며 "건축 부문 매출액 감소에 더해 주택 부문에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익성도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수주 잔고 5% 증가, 올해 실적 반등 이끌까
자이에스앤디는 전년보다 아쉬운 경영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다만 수주 잔고가 증가하며 올해 실적 만회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작년 연간 기준 잠정 수주 잔고는 2조846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2조7045억원)와 비교해 5.3% 증가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사업 부문별 수주 잔고는 △건축 부문 7504억원 △주택 부문 1조1361억원 △HS 부문 9602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꼽힌 주택 부문 수주 잔고가 13.8%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신규수주 달성률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해 전체 신규수주 달성률은 81.2%로 나타났다. 작년 신규수주 목표액은 2조1200억원으로 실제 신규수주액은 1조7204억원이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주택 부문에서 신규수주 목표액의 110%인 3849억원을 달성했다. HS 부문에서도 신규수주 달성률 103.1%를 기록하며 2269억원의 신규수주액을 올렸다. 건축 부문에선 목표액 1조5500억원의 71.5%인 1조1086억원을 기록하며 목표엔 못 미쳤다.
양질의 수주 잔고를 쌓은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자이에스앤디의 신규 수주 현황에 따르면 건축 부문에서 미국 애리조나 알파프로젝트(3958억원), 하남 M센터 신축(585억원) 등 1조1086억원의 신규수주를 올렸다. 주택 부문에선 부산 범천동 공동주택(2314억원), 신촌역세권 주상복합(963억원), 을지로 3-9 오피스(637억원) 등 3849억원의 신규수주를 기록했다.
자이에스앤디 관계자는 "긍정적인 점은 지난해 수주 잔고가 전년 대비 5% 넘게 증가했다는 것"이라며 "자이(Xi) 브랜드 경쟁력과 안정적인 신용등급 등을 기반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해 건축비 확보가 가능한 안정적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수주해 양질의 수주고를 올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넷마블, 영업현금 개선·차입금 축소 '적자구조 벗어났다'
- 단통법 폐지 앞둔 이통사, 비용 증가 우려 '기우 vs 현실'
- [2025 기대작 프리뷰]넷마블, '왕좌의게임'으로 연타석 홈런 정조준
- [IR Briefing]'자회사 약진' 카카오페이, 질적·양적 성장 노린다
- 매그나칩 자회사 매각 군침? 국내 기업들 '관심 없어'
-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글로벌 톱레벨의 영업 길 다시 열렸다
-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컨트롤타워 재건? 내부 경쟁구도에 쏠리는 눈
- 도형태 대표 "화랑협회장 선거 출마 안한다"
-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트럼프 스톰 발발…글로벌 생산기지 '직접 점검' 예고
- [이재용 사법리스크 해소]저조한 파운드리 가동률, JY 이펙트 시급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럼프발 관세전쟁]높아진 장벽…국내 건설사, 미국 주택사업 여파는
- [건설리포트]자이에스앤디, 수익성 저하…수주잔고 '든든'
- [PF Radar]'현대엔지 시공' 대구 칠성 더오페라, 증액 리파이낸싱
- [중견건설사 재무점검]SGC E&C, 차입 급증에 부채비율 309%
- [디벨로퍼 리포트]SK디앤디, 차입구조 단기화 속 부채비율 개선한다
- [상장 리츠 리포트]'순익 껑충' 롯데리츠, 배당 여력 커진다
- HL디앤아이한라, 차입금 리파이낸싱 '순항'
- [PF Radar]코오롱글로벌, '김해 공동주택' 준공 앞두고 만기 연장
- [건설사 CFO 성과 분석]맹주국 자이에스앤디 본부장, 재무 안정화 이어갈까
- [CFO Change]한신공영, 신임 경영기획실장에 김정훈 전무 '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