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사업 강화' 서울리거, 공장매입까지 '일사천리' 작년 말 설립 '코스리거' 증자 후 부동산까지, 공급능력 강화
이기욱 기자공개 2025-02-10 07:17:0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7일 18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화장품 사업 강화에 나선 서울리거가 자체 생산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작년 말 화장품 자회사를 설립한데 이어 추가 유상증자와 공장 부지 매입 등 주요 작업이 약 한 달만에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다.서울리거는 현재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외부에 의지해 온 화장품 생산을 자회사에 맡기며 공급 능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타 사업 대비 비중이 낮은 화장품 사업의 기능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리거는 7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 코스리거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 있는 토지 및 건물을 매입한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위닉스가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으로 거래가격은 총 420억원이다. 취득 예정일은 이달 10일이고 취득 목적은 '화장품 사업을 위한 부동산(공장) 매입'이다.
코스리거는 작년 12월 30일 서울리거가 화장품 사업 강화를 위해 새롭게 설립한 100% 자회사다. 설립 자본금 1000만원으로 설립됐고 지난달 21일 서울리거가 199억원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지원했다. 부동산 대금 420억원에는 여전히 못 미쳐 추가 지원이나 외부 조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리거는 설립부터 자본확충, 공장 부동산 매입 등 주요 작업들을 약 한 달간의 빠른 속도로 진행하며 자회사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서울리거는 화장품 제조업을 주력 사업으로 도소매업 등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최우선 과제는 자체 생산 체계 구축이다. 서울리거는 이미 더마코스메틱과 아임서울(I'm SEOUL), 닥터 샘킴(Dr.SAM KIM) 등의 화장품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OEM 방식으로만 생산이 이뤄져 공급 확대 등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영업 포트폴리오 상 화장품 사업의 매출도 아직은 크지 않은 편이다. 작년 3분기 기준 서울리거의 총 매출은 138억원으로 이중 화장품 매출은 2100만원 수준에 불과하다. 전체 매출 대비 비중은 0.2% 수준이다.
코스리거는 빠르게 공장 설비를 구축한 후 외부에 의존해왔던 서울리거 화장품 제품들을 자체적으로 생산해 나갈 예정이다. 공급 능력이 개선되면 서울리거 화장품 사업부의 매출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용원 서울리거 최고재무책임자(CFO) 상무는 "코스리거가 화장품 도소매업도 함께 수행하지만 주력은 화장품 제조업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없었던 화장품 자체 생산 기능을 구축하는 것에 가장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확한 공장 가동 시점 등은 현재로서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삼일제약, 자사주 활용 메자닌 차환 일석이조 '재무효과'
- 지오영, MBK 체제 첫 주주환원…비결은 고금리 장기차입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굳건한 신약 '투 톱' 대웅제약, 엔블로 병용요법 두각
- '유통→제조업' 서울리거, 미용의료 체질 개선 본격화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아이디언스, 일동제약 '신약 가치' 지킬 최후의 보루
- 지오영 '토탈 헬스케어' 속도, IT솔루션 신사업 추진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
- 퓨쳐켐 'ORR 60%' 숨은 의미, 규제기관·경쟁사와 다른 기준
- 에스바이오메딕스, PD '톱 데이터' 재확인 미국 3상 직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