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쌍용건설, 2년째 재무·실적 개선 '순항'전년 대비 연결기준 영업익 32% 증가, 부채비율은 288%→194% 대폭 개선
박새롬 기자공개 2025-04-03 07:55:05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2일 07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쌍용건설이 2년 연속 실적과 재무구조 개선을 달성했다. 2022년 말 글로벌세아에 편입된 이후부터다. 재무건전성 및 유동성에 여유가 생기면서 신규 수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쌍용건설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2023년 말 377억원에서 지난해 말 497억원으로 31.8% 늘었다. 순이익도 같은 기간 439억원에서 660억원으로 50.3% 증가했다.
앞서 쌍용건설은 2021년 영업손실 1108억원, 2022년 영업손실 450억원을 기록했으나 글로벌세아에 인수된 이후 2023년 영업이익 377억원으로 흑자전환한 바 있다.
글로벌세아 체제 이후 철저한 원가율 관리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 말 97.37%였던 원가율은 2023년 말 92.34%로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말에는 92.21%로 소폭 개선됐다. 건설 현장의 관리비 절감과 설계변경 등에 따른 원가개선이 반영됐다.
실적뿐 아니라 2년 연속으로 재무건전성 개선도 달성했다. 쌍용건설의 지난해 말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194%로 나타났다. 2022년 842%, 2023년 말 287.9%보다 대폭 개선됐다.
이는 2023년 초 1500억원 유상증자를 통해 대규모 자본을 확충하고, 지난 1~2년간 해외 손실 사업장이 대부분 마무리된 영향이 크다. 기업의 단기 현금 지급능력을 뜻하는 유동비율도 2022년 말 104.8%에서 지난해 말 155.3%로 개선됐다.
앞서 쌍용건설은 해외 현장에서 대규모 손실을 내면서 2021~2022년 순손실을 기록했다. 2022년 말 자본 총계는 1019억원이었으나 지난해 말 기준 4108억원으로 약 4배 수준으로 늘었다. 유상증자 자금 유입에 이어 지난해 11월 5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 발행한 점도 추가 재무구조 개선을 이끌었다.
이밖에 여러 대형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수익이 늘고, 원가절감에 성공한 점 등도 재무구조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현금곳간도 풍족해지고 있다. 쌍용건설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2022년 말 846억원에서 2023년 말 1598억원, 지난해 말 1970억원으로 늘었다. 2년 새 133% 증가했다. 유증 효과 이후 지난 1년간 현금보유고가 늘어난 것은 신규 해외 현장에서 공사비 선수금이 유입된 결과다.
올해도 실적 성장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매출에 인식될 만한 주택사업 현장이 지난해 본 궤도에 올랐다. 쌍용건설은 지난해 말 동대문구 신답극동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착공신고를 받아 실착공을 앞두고 있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큰 비중을 차지하던 경기 평택시 통북동 주상복합 개발사업도 지난해 본PF 전환하고 착공했다.
개선된 재무구조와 유동성을 기반으로 신규 사업을 진행하는 데 드는 비용 부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쌍용건설은 지난해부터 서울 지역 재개발·재건축 현장에 적극 진출하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정비사업 부문에서 존재감을 확대하려는 모습이다.
쌍용건설은 풍부해진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모든 사업부문에서 골고루 수주고를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쌍용건설은 지난해 말 연결기준 매출 1조4931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소폭 늘었다. 부문별로는 토목과 플랜트가 각각 9.6%, 11.1%씩 늘었다. 건축은 9000억원대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제일엠앤에스 시장복귀 여정]거래소에 상폐 이의신청서 제출 '해명절차 착수'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라구나인베·TS인베, 신기술 분야서 문체부와 인연 물꼬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IP직접투자, 카스피안캐피탈 선정…KVIC 첫 인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이변 없었던 '문화일반', 케이넷투자 2관왕 달성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핑크퐁' 스마트스터디벤처스, 'IP 분야' 재도전 성공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수출분야, 문화투자 VC 싹쓸이…크릿벤처스 '재수' 성공
- [i-point]신테카바이오, AI슈퍼컴퓨팅 센터 ‘ABSC’ 홈페이지 오픈
- 금호건설,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순항'
- [디아이동일 줌인]동일알루미늄 흡수합병, 경영 효율성 '방점'
박새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DC현대산업개발, 용산정비창 'THE LINE 330' 제안
- 우미건설, 화성 남양뉴타운 사업 '민간임대' 전환
- [조단위 PF 개발사업 돋보기]메트로·서울로타워, 하이엔드 통할까
- DL그룹, 전 계열사 마곡행 확정
- 인천 용현·학익지구 '시티오씨엘 7단지' 이달 분양
- [디벨로퍼 리포트]미래인, 프리마호텔로 실적 반등 기대감
- [thebell note]'하이엔드 부동산'의 몰락
- [디벨로퍼 리포트]이스턴투자개발, 프로젝트 답보…PM 매출 '뚝'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롯데건설, 마곡·광주 사업비 회수 '자신감'
- [서울시 역세권활성화 사업 점검]트리니티에셋, '청담동 빌딩' 용적률 800% 오피스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