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대, 미국 크립토 규제 방향]확대된 시장 변동성…'친 가상자산' 기조 다시금 강조⑤관세전쟁 영향으로 코인 시세 급등락 반복…제도화 순서는 연방법 마련부터
노윤주 기자공개 2025-02-12 13:56:18
[편집자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당시 미국을 '비트코인 패권국'으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취임 전부터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미국은 그간 SEC를 중심으로 강력한 규제 기조를 유지해 왔지만 앞으로는 산업 육성으로 정책을 전환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를 뒷받침할 관련 법안도 빠르게 마련되고 있다. 미국의 가상자산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트럼프 취임에 맞춰 그가 그리고 있는 가상자산 패권국은 어떤 모습일지 예측해 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7일 0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국이 관세전쟁이 나서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전략자산 비축 등 약속했던 공약 이행이 지연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요동치는 시세와 달리 아직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친 가상자산 기조는 변하지 않은 모습이다. 최근에는 '가상자산 차르'가 나서 재무부, 법무부, 상무부 등 미국 주요 부처 인원들로 가상자산 행정기관 태스크포스(TF)를 설립하고 약속했던 연방차원 규제 법안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불붙은 관세전쟁, 흔들리는 가상자산 입지?
트럼프는 이달 1일 행정명령을 통해 캐나다와 맥시코에 각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또 중국산 수입품에는 10% 추가 관세를 매기기로 결정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일제히 하락했다.
업비트에서 1일 1억5700만원선에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3일 한 때 1억4500만원까지 하락했다. 해외서는 낙폭이 더 컸다. 같은 시간 바이낸스 비트코인 거래가는 9만3100달러(약1억3483만원)이었다.
가상자산 시장은 미국 관세 행보 정책에 동조하며 변동성을 키웠다. 이후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에 대해 관세 부과를 한달 유예한다고 밝히자 대다수 가상자산 가격이 다시 반등했지만 순간이었다. 중국 관세 부과 입장은 유지하면서 다시금 하락세를 연출했다.
업계는 미국 관세 부과가 가상자산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무역갈등이 심화돼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다면 실물 금, 채권 등을 선호할 수 있다는 심리가 선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관세전쟁으로 물가가 상승해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비트코인 가격 하락을 부추겼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소극적인 가상자산 정책 마련 행보가 시장 변동성을 키웠다고 봤다. 취임 전에 제기되던 예측들과 달리 적극적인 행정명령 등이 없었다는 의견이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밈코인까지 발행하는 등 가상자산 시장을 전폭 지원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취임 첫 주예는 예상했던 행정명령 등이 나오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던 가상자산 시장에 제동이 걸린 것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07/20250207012833380_n.jpeg)
◇연방규제·스테이블코인 1순위, 전략자산 비축은 '시간 필요'
업계 우려와는 달리 트럼프 행정부는 '친 가상자산 기조'는 여전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다만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과 같은 급진적인 정책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달 4일에는 데이비드 삭스 미국 백악관 가상자산 차르가 첫 기자회견을 개최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가상자산 정책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팀 스콧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 위원장과 프렌치 힐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위원장 등도 함께 자리했다.
이날 삭스는 재무부, 법무부, 상무부 장관이 참여하는 가상자산 행정기관 TF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의회 폐기로 중단됐던 연방 차원의 가상자산 규제 법안을 상·하원에 다시 제안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달러와 가치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법제화가 1순위라는 점도 명확히 했다.
그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미국이 우위를 확보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 산업도 디지털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이런 혁신이 미국에서 일어나도록 유지하는 게 소비자 보호에 더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비트코인 전략 자산 비축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표했다. 삭스는 "비트코인 전략 자산 비축은 논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트럼프 시대, 미국 크립토 규제 방향]확대된 시장 변동성…'친 가상자산' 기조 다시금 강조
- [불 붙는 크립토 제재]기관·인적제재 '바로미터'에 업계 촉각
- '딥시크 포비아' 확산…금융권, 자체 서비스 구축 속도
- [트럼프발 반도체 생크션 리스크]한층 거세질 '레드 메모리' 공세, 한국 공습경보 확산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은행, 부작용 방지 사활…위험관리조직 상시 운영
- [Sanction Radar]IBK연금보험, PF·대체투자업무 곳곳에 '허점'
- [프라이버시 리스크]'딥시크' 향한 규제 칼날, 금지령 확산
- [게임사 생크션 리스크]게임사 향하는 제재 칼날, '징벌적 손해배상'까지
- [불 붙는 크립토 제재]일부 영업정지 예고 이후, 과태료에 쏠리는 시선
- [Sanction Radar]과징금 판결 코앞 이통3사, 엇갈린 부처 시각·딥시크 변수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럼프 시대, 미국 크립토 규제 방향]확대된 시장 변동성…'친 가상자산' 기조 다시금 강조
- [KT AICT 파트너]'AI 중심 파트너십' 선언, 유망기업 키워 '과실' 얻는다
- [불 붙는 크립토 제재]일부 영업정지 예고 이후, 과태료에 쏠리는 시선
- [불 붙는 크립토 제재]업비트 당황시킨 '불법 거래소' AML…업계 전반 문제로 부각
- [2025 가상자산 글로벌 지도]'정부 공략' 체이널리시스, 국내 기업과 경쟁 '본격화'
- [Company Watch]'TPV 증가' 카카오페이, 논캡티브 확대 '한발짝'
- 네이버, 이해진 의장 복귀 타진 '소버린AI 드라이브'
- '법인 코인투자' 발표 임박, 거래소 점유율 판도 바뀔까
- 단통법 폐지 앞둔 이통사, 비용 증가 우려 '기우 vs 현실'
- [IR Briefing]'자회사 약진' 카카오페이, 질적·양적 성장 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