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⑤[영업이익] 삼성重도 조선업 훈풍 타고 선전, 영업이익 2배 이상 증가
박기수 기자공개 2025-04-02 08:21:25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기업의 영업·투자·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집계하고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에서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그룹의 재무적 변화를 살펴본다. 그룹 뿐만 아니라 업종과 시가총액 순위 등 여러 카테고리를 통해 기업의 숫자를 분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7일 09시27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작년 삼성그룹 상장사(금융사 제외) 중 전년 대비 영업이익을 가장 많이 개선한 곳은 삼성전자다. 2023년 겪었던 반도체(DS) 부문의 충격에서 벗어나면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삼성중공업도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였다. 삼성전자도 영업이익률을 일부 회복했다. 다만 '캐즘' 타격을 받은 삼성SDI와 면세사업 부진으로 고민이 커진 호텔신라의 영업이익률은 급감했다.
◇삼성전자의 회복, 삼성중공업의 선전
26일 THE CFO 집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 연결 영업이익으로 32조726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기록한 6조5670억원 대비 398.3%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집계 대상 그룹 계열사 중 1위다.
삼성중공업은 작년 영업이익으로 5027억원을 기록해 2023년 2333억원 대비 115.5% 증가했다. 삼성중공업은 삼성전자에 이어 영업이익 증가율 2위 기업이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SDS, 삼성전기는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한 기업들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작년 연결 영업이익은 1조3201억원이다. 삼성SDS와 삼성전기는 각각 9111억원, 7350억원을 기록했다. 제일기획과 삼성물산은 영업이익 증가율로 각각 4.3%, 3.9%를 기록했다.

2023년 대비 작년 영업이익이 감소한 곳은 △에스원 △삼성E&A △삼성SDI △호텔신라다. 에스원과 삼성E&A의 작년 연결 영업이익은 각각 2092억원, 971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 2.2% 감소했다.
삼성SDI와 호텔신라는 타격이 컸다. 삼성SDI의 작년 영업이익은 3633억원으로 2023년 1조5455억원 대비 76.5% 감소했다. 호텔신라는 작년 5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912억원을 기록한 2023년 이후 1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영업이익률 독보적 1위 '삼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삼성그룹 비금융사들 중 작년 연결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다. 작년 29%를 기록했다. 2022년(32.8%), 2023년(30.1%)에 이어 작년에도 30% 안팎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2위는 삼성전자로 작년 영업이익률 10.9%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14.4%의 영업이익률을 냈다가 이듬해 반도체 업황 악화로 2.5%라는 저조한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었다. 작년에는 DX부문의 선전과 DS부문의 수익성 개선으로 1년 만에 영업이익률이 8.3%포인트 높아졌다.
그 뒤를 이은 곳은 작년 삼성그룹 계열사 중 자기자본이익률(ROE)이 19.65%로 가장 높았던 삼성E&A다. 작년 영업이익률로 9.7%를 기록했다. 삼성E&A는 2023년에도 9.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던 바 있다.
△에스원 △제일기획 △삼성전기 △삼성물산은 모두 7%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4사는 2023년에도 비슷한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냈었다. 2023년 영업이익률 6.1%를 기록했던 삼성SDS는 작년 6.6%를 기록했다.
삼성중공업은 조선업 호황 영향으로 영업이익률이 5%대로 높아졌다. 삼성중공업의 영업이익률은 2022년 -14.4%, 2023년 2.9%였다.
삼성SDI는 작년 영업이익률로 2.2%를 기록하며 부진했다. 전기차 캐즘 탓에 수익성이 저하한 탓이다. 2023년 영업이익률은 7.2%였다.
가장 낮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곳은 영업적자를 기록한 호텔신라다. 영업손익률은 -0.1%다. 2023년에도 2.6%의 영업이익률밖에 내지 못했던 호텔신라는 작년 면세사업 부진으로 적자 전환했다.
2023년 대비 영업이익률이 가장 많이 높아진 곳은 삼성전자다. 2023년 대비 8.3%포인트 높아졌다. 삼성중공업(2.2%p)이 삼성전자에 이어 전년 대비 영업이익률을 많이 개선한 기업이 됐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률이 악화한 기업은 삼성SDI다. 2023년 대비 -5%p 낮아졌다. 호텔신라도 2023년 대비 -2.7%포인트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
- 카카오게임즈, 4년 만에 끝난 CB 전략 '득과 실'
- [VC 투자기업]트래블월렛, 미국·대만 법인 설립한다…해외 매출 기대
- 차바이오텍, 쪼그라든 유증에도 'R&D'에 900억 투입 예고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
- ROE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