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키우는 오름테라퓨틱, R&D·경영지원 인력 늘렸다 상장 두 달만 한국연구소장 영입·경영지원 인력 확충도…"사업 역량 강화 차원"
김성아 기자공개 2025-04-23 08:49:59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2일 08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상장 2개월차인 오름테라퓨틱이 인력을 늘리고 있다. 경영지원 파트 인력을 추가 채용하는 것은 물론 R&D 고위급 인력도 영입했다.최근 최근 영입한 이상현 한국 연구소장은 한국과 미국 두 연구소의 가교 역할을 할 인물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오름테라퓨틱은 이 박사 영입으로 임상 본거지인 미국 연구소와 항체 개발 및 모델링 등 기초 연구를 담당하는 한국 연구소간 균형있는 성장을 이룬다는 복안이다.
◇R&D부터 재무·IT 지원까지…인력 채용 계속
22일 업계에 따르면 오름테라퓨틱은 현재 홈페이지 및 헤드헌터 등을 통해 인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채용 중인 직무는 R&D부터 재무기획팀장, IT지원 등 다양하다.
오름테라퓨틱 관계자는 "상장을 기점으로 상장사에 걸맞게 경영지원 인력을 일부 확충했다"며 "현재 전사 역량 강화를 위해 R&D 등 전반에 걸친 인력 확보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오름테라퓨틱은 상장을 전후로 IR 및 PR 담당자를 새롭게 채용하는 등 인력 구성을 재정비했다. 오름테라퓨틱은 구체적인 인원 확충 추이는 알 수 없지만 계속해서 구성원을 늘려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제출한 오름테라퓨틱 증권신고서상 임직원 수는 총 22명이다. 현재 오름테라퓨틱 홈페이지에 공개된 '오름 팀' 인원은 총 43명이다. 다만 1월 증권신고서상 임직원 현황은 당시 대전에 위치한 오름테라퓨틱 본사 근무 인원만을 추산한 숫자다.
◇첫 한국인 R&D 총괄급 영입 "한-미 연구소 가교 역할"
오름테라퓨틱은 회사 전반에 걸쳐 인력을 늘리면서 고위급 R&D 인력도 영입했다.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한 한국 연구소장으로 영입한 이상현 박사다. 이 박사는 한국과 미국 연구조직간 협력을 강화하며 이중 정밀 표적 단백질 분해 접근법 'TPD²' 플랫폼 개발 가속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프렐류드 테라퓨틱스와 아비나스에서 연구 리더십 역할을 맡아 표적 단백질 분해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인사이트 코퍼레이션에서도 신약 개발 리더십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모두 미국 소재 바이오텍이다.
이 박사 영입으로 오름테라퓨틱의 연구 조직은 한층 더 긴밀한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오름테라퓨틱은 대전과 미국 렉싱턴 두 곳에서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1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오름테라퓨틱의 연구조직은 △항체 △화학 △바이오 △구조모델링 △프로젝트관리 △실험실관리팀으로 이뤄진 공통 본부와 미국 자회사가 담당하는 △CMC △임상팀이 있다. 이 중 한국연구소에서는 항체팀과 구조모델링팀이 주력이다.
연구인력은 각각 절반씩 배치돼있지만 헤드급인 올라프 크리스텐센 임상총괄과 제임스 팔라치노 연구개발 총괄 모두 미국 연구소에서 주로 근무했다. 이번 한국연구소장 영입으로 미국과 한국 연구소간 균형이 맞춰진 셈이다.
오름테라퓨틱 관계자는 "이상현 박사는 미국과 한국을 아우르는 이력을 가지고 있어 두 연구소간 소통을 이끄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 연구소장 영입이긴 하지만 기존 두 R&D 임원과 함께 연구조직 전체를 이끄는 총괄 역할"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i-point]대동모빌리티, 로봇 프로덕트 총괄로 강성철 박사 영입
- [Red & Blue]'실적 우상향' 삼륭물산, 탈플라스틱 공약 모멘텀 부각
- 현대차그룹, 적자 포티투닷 '美 드론 자회사' 청산
- [영상]금감원 넘은 차바이오텍 유상증자, 주요 사용처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코인 POLA 결합한 노트필기앱 ‘폴라노트’ 공개
- [옵트론텍 줌인]미국 완성차 제조사 양산 결실, 미·중 무역갈등 ‘반사이익’
- [i-point]아이즈비전, 가족·친구 결합 필요 없는 '솔로 결합 서비스' 출시
- [i-point]딥노이드, 연세대 공대와 의료영상·AI 공동 연구 협약
- 넥슨 오너일가의 달라진 배당금 셈법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덩치 키우는 오름테라퓨틱, R&D·경영지원 인력 늘렸다
- [2025 제약·바이오 포럼]아치벤처가 말하는 K-바이오의 '해외 VC' 협업 조건은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대성팜텍 인수 '일석삼조' 신사업에 재무·매출도 잡았다
- 제노스코, IPO 절차 완주 '시장위원회'도 '미승인'
- [로킷헬스케어 IPO]상용화 장기재생 플랫폼 자신감, 재무건전성 강화 '과제'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 [클리니컬 리포트]동아ST의 메타비아, 위고비 빈틈 겨냥 '비만약' 내약성 입증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브릿지바이오 "상폐 임박? 넥스트도 지원군도 있다"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위기도 재기도 'CU06', 시력개선 효과 '자체임상' 승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