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값'한 달바글로벌…해외매출이 내수 넘었다 1분기 연결기준 수출 636억, 전체 매출의 55.9%…상장으로 가속화 기대
최윤신 기자공개 2025-05-19 08:48:27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5일 17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달바글로벌이 지난 1분기 한국보다 해외시장에서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글로벌'을 강조해 사명을 바꿨는데 이름값을 했다는 평가다.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올해 연간으로는 수출 비중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최근 공시된 달바글로벌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분기 연결기준 내수시장에서 502억원, 수출을 통해 636억원을 벌어들였다. 수출에서 발생한 매출이 내수 매출을 앞질러 눈길을 끈다. 1분기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55.9%에 달한다.

달바글로벌은 최근 수년간 해외 매출이 빠르게 늘어왔다. 2022년 191억원이었던 해외매출은 2023년 446억원으로, 2024년 1410억원으로 급격히 성장했다. 내수 매출도 꾸준히 늘었지만 성장속도에 차이가 컸다. 이에 따라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3%에서 2023년 22%, 2024년에는 45%로 불어났다.
올해 1분기 달바글로벌이 진출한 국가 전반에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과 러시아, 유럽, 중화권에서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미국과 아세안시장에서도 지속 성장하고 있다.
아직 분기 기준이지만 공시된 수치를 기준으로 달바글로벌의 해외매출이 국내매출을 뛰어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달바글로벌을이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아직 유가증권시장에 상장이 이뤄지진 않았지만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를 진행했기 때문에 분기보고서 제출 의무가 생겼다.
달바글로벌은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해나가겠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사명을 달바글로벌로 바꾼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설립당시 사명은 비모뉴먼트였는데, 글로벌 코스메틱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담아 지난해 현재의 사명으로 고쳐달았다.
해외시장 공략에 더 박차를 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미국에 법인을 설립한 게 눈에 띄는 움직임이다. 미국법인을 통해 이를 통해 올해부터 미국 매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 2023년 러시아에 법인을 설립했고, 2024년엔 일본에도 법인을 만들었다. 법인 설립 이후 러시아와 일본에서의 매출이 두드러지게 늘어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절차를 마친 달바글로벌은 상장을 통해 해외매출 성장을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공모자금을 활용해 국가별 온라인 마케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글로벌 주요 국가에 전문적인 마케팅·인플루언서 네트워크를 보유한 기업에 대해 투자도 검토할 계획이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통한 글로벌 인지도·신뢰도 제고 효과도 글로벌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달바글로벌은 2028년까지 매출 1조를 달성하고 해외 매출비중을 70%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반성연 달바글로벌 대표는 앞서 IPO 기자간담회에서 "오프라인 확장을 통해 미국 매출이 10%까지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달바글로벌은 국내 벤처캐피탈(VC)들이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우리벤처파트너스, 코리아오메가투자금융, SL인베스트먼트, HB인베스트먼트, DSC인베스트먼트 유니온투자파트너스, 보광인베스트먼트 등 다수의 VC가 이번 상장을 통해 큰 차익으로 회수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머스트운용 AUM 1조 돌파, 올해만 470억 펀딩
- 에이원운용, 내달 중 메자닌 블라인드 펀드 결성
- 이지스운용 멀티에셋파트, 재간접펀드 라인업 확대
- 키웨스트운용, 두번째 주담대 펀드 결성 추진
- 한투운용 배재규, 2년만 대규모 조직개편 속내는
- 메테우스 박진훈, ‘안산 성포 브릿지론’ 성공적 매듭
- 박제우 전 코레이트운용 상무, 이앤인베스트먼트 합류
- 중동 정세 불안에 'KODEX 금액티브 ETF' 64억 뭉칫돈
- 이재현 더제이운용 대표, '롱숏' 기반 목표전환형 매듭
- [미래에셋 해외 재간접 펀드 돋보기]글로벌 헤지펀드 타깃, 3조 AUM 달성
최윤신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모태펀드 태동 20년]정책자금 통로 다변화, 씽크탱크 역할 필요
- [LP Radar]교직원공제회 VC 출자사업, 2배수 숏리스트 선정
- [모태펀드 태동 20년]'마중물' 넘어 인내자본·플랫폼 역할, 2.0 시대 맞는다
- [LP Radar]새마을금고 VC 출자, '실사대상' 4곳 선정
- [모태펀드 태동 20년]'30년 존속기한' 해결 시급, 새정부서 탄력 받나
- [LP Radar]스코펀, 민간LP 관계사 북적…"해볼만하다" 반응
- [2025 VC Forum]"20주년 모태펀드, 벤처투자 플랫폼 역할 강화할 것"
- [2025 VC Forum]새 정부 출범, '혁신 DNA' 되살릴 정책 방향은
- [영상]에이로봇 한재권 CTO가 말하는 '한국 휴머노이드의 미래'
- [모태펀드 태동 20년]'2005년 설립' 모험자본 마중물, 12조 VC시장 '일등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