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07년 12월 03일 16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은 하나로텔레콤 매각으로 얼마나 벌었을까.SK텔레콤이 하나로텔레콤 인수를 위한 정부 인가 조건부 계약을 체결한 가운데 4년만에 하나로텔레콤에서 손을 떼는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의 매각 차익 규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SK텔레콤은 하나로텔레콤 주식 38.89%(9140만6240)주를 주당 1만1900원에 인수키로 했다고 밝혔다. 총 인수 금액은 1조877억원이다.
SK텔레콤에 지분을 넘긴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은 지난 2003년 말 5억달러(당시 5850억원)을 들어 주당 3200원에 하나로텔레콤 주식 1억8281만2500주를 매입했다. 하나로텔레콤이 지난해 5월 감자를 실시하면서 주식수는 절반인 9140만여주가 됐고 매입단가는 배로 뛴 6400원으로 높아졌다.
결국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은 하나로텔레콤 지분 매각을 통해 5027억원의 차익을 남기게 됐다.
특히 현재 925원(3일 종가기준)인 원/달러 환율이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이 하나로텔레콤 지분을 인수할 당시 1170원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대규모 환차익 또한 발생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의 4년간 수익률은 최소 100%가 넘는다는 계산이다.
이에 따라 하나로텔레콤 인수 당시 10년 이상 장기적인 투자 목적을 내걸었던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은 이같은 매각 차익에 따라 ‘먹튀’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나로텔레콤이 올 2분기에 2년만에 분기 흑자를 기록한 데 이어 3분기에도 흑자를 기록하는 등 재무구조가 안정된 점 등을 감안하면 뉴브리지-AIG 컨소시엄의 매각 차익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뉴브리지-AIG가 하나로에 투자할 당시만 해도 하나로는 자본대비 156%가 넘는 부채를 안고 있지만 현재 부채비율은 108%로 줄었다. 또 두루넷을 인수하면서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를 360만명으로 늘렸고 하나TV 런칭을 통해 하나TV 가입자도 70만명 이상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