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공사 캐나다법인, 글로벌본드 발행 모회사인 석유공사 100% 지급보증…5년만기 T+145bp에 프라이싱
한희연 기자공개 2013-05-08 04:51:40
이 기사는 2013년 05월 08일 04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석유공사(KNOC)의 캐나다 자회사인 하베스트(Harvest Operations Corp)가 글로벌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이번 채권은 석유공사가 지급보증을 하는 형식으로 발행됐다.하베스트는 8일 새벽 6억3000만 달러 규모의 5년 만기 글로벌본드를 발행했다. 발행 금리는 '미국 국채 수익률(T)+145bp'로 결정됐다. 이번 채권의 쿠폰금리는 2.125%, 일드수익률은 2.202%다. 납입일은 오는 14일이다.
하베스트는 7일 오전 글로벌본드 발행을 어나운스하고 투자자 모집을 시작했다. 최초 제시금리인 이니셜 가이던스는 'T+165bp'로 제시됐다. 이후 가이던스를 'T+150±5bp'로 한차례 수정했고, 결국 최초 제시금리 보다 20bp 낮은 수준으로 발행을 완료했다.
미국시장으로 넘어가면서 미국과 캐나다의 투자수요가 폭발적으로 밀려들어왔다는 후문이다. 투자자 주문은 185개 기관에서 37억5000만 달러가 들어왔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45%, 유럽 20%, 미국 35%의 비중을 보였다. 투자자 유형별로는 자산운용사가 76%, 공공기관이 7%, 은행이 8%, 보험이 6%, PB 및 기타가 3%의 비중을 나타냈다.
2009년 하베스트 합병 이후, 석유공사가 100% 지급보증을 제공해 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1년 현대자동차가 체코 법인 채권을 발행할 때와 비슷한 형태다. 이번 채권은 4억 달러 가량의 하베스트의 브릿지론을 상환하는 데 쓰인다.
국제신용평가회사 S&P는 이날 석유공사가 보증하는 히베스트의 채권에 'A+(안정적)'등급을 부여했다. 무디스 이번 하베스트의 채권에는 'A1(안정적)'등급을 부여했다. 모두 모회사인 석유공사 등급과 같은 등급을 부여한 셈. 모기업인 석유공사의 지급보증을 받을 경우 하베스트는 조달금리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석유공사는 이번 채권 발행을 위해 BofA메릴린치, HSBC, 바클레이즈, RBS를 주관사로 선정, 지난달 15일에는 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서 넌딜로드쇼를 개최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