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질병과 생활비 걱정 동시에 해결" 현대해상 '100세 시대 간병보험' 개발 주역 민경민 과장
강예지 기자공개 2013-09-25 10:45:34
이 기사는 2013년 09월 23일 10:5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보험업계나 유관기관 사람들을 만나면 묻게 되는 질문이 '어떤 보험에 관심이 있는가'다. 여러 상품의 이야기를 들었지만, 요즘 들어 주목받는 상품 중 하나가 간병보험이다. 현대해상의 '100세 시대 간병보험'은 특히 좋은 평을 받는 상품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이 상품에 '2012년 우수 금융신상품 우수상'을 수여했다.현대해상은 지난해 6월 '100세 시대 간병보험'을 출시했다. 사실 현대해상이 간병보험을 개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3년, 2006년 두 차례에 걸쳐 간병보험을 개발했다. 두 번째 개발한 '닥터코리아 간병보험'은 3개월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했지만, 고령화 시대에 대한 관심이 지금과 같지 않아 판매가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한다. 배타적 사용권이란 독창적인 신상품을 개발한 보험사의 개발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보험사가 일정 기간 해당 상품을 독점적으로 판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이번에는 다르다. 매달 평균 10억 원가량의 가입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달까지 18만 2019건, 168억 원의 가입 실적을 올렸다. 40~60대 가입자도 많지만, 특히 50대 계약자가 많다는 설명이다.
50대 계약자가 주 가입층인 점은 '100세 시대 간병보험'의 인기 포인트와 연결된다. 50대는 활동이 불가능한 고령층은 아니지만, 은퇴시기에 가까워지면서 향후 생계유지에 대한 고민이 많은 연령대다. '100세 시대 간병보험'은 저축 기능을 담아 주 고객층의 니즈를 채웠다. 가입 후 70~80대가 되어 해지하더라도 환급률이 170%에 달한다. 잠재 계약자들이 보장성 보험 기능뿐 아니라 저축 용도로 이 상품을 주목하는 이유다.
출시 당시 갱신형과 비갱신형으로 나뉘었던 '100세 시대 간병보험'은 현재 비갱신형으로만 가입할 수 있다. 출시 이후 가입자 수요가 비갱신형에 몰렸기 때문이다. 비갱신형은 조금 비싼 대신 향후에도 변동 없이 같은 수준의 보험료를 낼 수 있다.
민경민 현대해상 상품개발부 상품개발팀 과장(사진)은 "가입 초기에 조금 더 낸 보험료를 보험사가 지급 준비금으로 쌓아두었다가 해지할 때 돌려주는 것"이라며 "질병 리스크와 함께 노년기 '장기 리스크'로 여겨지는 생활비를 보장하는 상품"이라고 소개했다.
|
상품 이름처럼 100세까지 장기요양, 치매, 상해, 질병 등 노년기에 유용한 담보들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이다. '100세 시대 간병보험'은 2008년 7월 노인 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시행된 후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공적 성격의 보험이다. 장기요양간병지원금 특약에 가입하면 최고 2400만 원의 보조금을 매월 받을 수 있다.
고령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상품 내용이 쉽고, 보험금 지급절차를 간소화한 점이 특징이다.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기준으로 보험금이 지급되기 때문이다. 장기요양 1등급 판정 시 1억 원, 2등급 7000만 원, 3등급 2000만 원 등 등급별로 지급 가능한 보험금이 책정돼있다.
민 과장은 "통상 보장성 상품의 약관에는 어렵고 복잡한 전문적 의학용어가 많이 들어간다"며 "'100세 시대 간병보험'의 경우, 국가가 가입자에게 부여한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보장내용이 정해지기 때문에 향후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분쟁의 소지가 적다"고 설명했다.
고객에게 유리한 상품은 보험사엔 부담을 안길 수 있다. 보험금 청구가 많아져 갑자기 손해율이 급등하는 경우가 한 가지 예다. 간병보험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요즘, 회사는 어떻게 이 상품의 리스크를 관리할까.
민 과장은 "개발 단계에서 요(要)개호 통계자료 등을 참고,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령화 시대를 맞이한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했다"며 "현재 위험률이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요율 등을 심사숙고한다"며 "장기요양보험은 등급별로 점수가 있는데, 최근 3등급의 점수가 낮아져 보장의 범위가 확대됐다. 장기요양보험 제도와 연관된 상품이기 때문에 제도 변경 내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정철 브이티 공동대표, 140만주 매각 예고
- [i-point]시노펙스, 유튜브 통해 적극 주주 소통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빅텐츠 인수 예고한 나노캠텍, 내실 다지기 '글쎄'
- [IR Briefing]'경영권 분쟁 일축' 에스켐 "OLED 소재 전문 공급사 도약"
- [Company & IB]SK·LG 이은 '빅 이슈어' 한화, KB증권으로 파트너십 '이동'
- 우리금융, CEO 장기 승계 프로그램 가동…후보군 면면은
- 최규옥 전 오스템 회장, 주성엔지 투자 방침 '유지'
- [한미 오너가 분쟁]'직접 소통' 약속 지킨 신동국, 소액주주연대 '지지' 화답
- [SK스퀘어 밸류업 구상 점검]인크로스, 'T딜+AI' 신성장동력 확보 속도
- [저축은행경영분석]NH저축은행, 흑자전환 지속 가운데 건전성 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