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사채, 특수채 전환 효과 '빈익빈 부익부' 경기·인천·부산公, 조달금리 급락…강원·화성公, 단기물도 난항
황철 기자공개 2014-07-17 09:31:20
이 기사는 2014년 07월 15일 08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방 공기업 채권의 특수채 지위 복권의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반적인 조달 금리는 한 달 사이 큰 폭으로 떨어졌고 평가수익률 대비 강세 발행이 이어지고 있다.경기도시공사, 인천도시공사, 부산도시공사 등 진행 사업이나 지방정부의 재정 규모가 큰 지방 공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큰 수혜를 받고 있다.
반면 강원도개발공사, 화성도시공사 등 재무건전성이 떨어지는 지방 공기업의 경우 특수채 지위 복권의 효과를 그다지 받지 못하고 있다. 지방 정부의 재정자립도나 사업적 긴밀성 등에 따라 공사간의 차별화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 금리 하락, 민평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
6월 이후 지방 공기업들은 1조4600억 원어치의 무보증 채권(토지보상채 제외)을 찍었다. 인천도시공사가 81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시공사 4000억 원, 부산도시공사 1000억 원을 나타냈다. 화성도시공사 800억 원, 강원도개발공사 500억 원, 부산교통공사도 200억 원어치의 특수채를 발행했다.
발행 금리는 특수채 지위를 복권한 이후인 최근 한 달 사이 급락했다. 인천도시공사(AA+)는 8일 만기 2년과 3년짜리 채권 각각 1600억 원, 2400억 원어치를 찍었다. 금리는 각각 3.655%, 3.801%를 나타냈다. 전자입찰에 수요가 몰려 전일 개별 민평보다 5bp, 3bp 낮게 조달에 성공했다.
불과 한 달여 전인 5월21 만기 1년물 2900억 원어치를 4%에 찍었던 때와 조달 여건이 몰라보게 좋아졌다. 인천도시공사 채권 금리는 지방공사채법 개정안이 시행된 6월3일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6월12일 발행한 만기 1년물 3200억 원은 3.90%에 발행했다. 같은 달 26일 만기를 2년으로 늘렸지만 낙찰금리는 오히려 3.742%로 떨어졌다. 이달 8일 발행한 2년물(3.655%)은 여기서 거의 8.7bp나 더 낮아졌다.
조달금리 하락이 워낙 빨라 채권평가수익률이 이를 제때 반영하지 못할 정도였다. 11일 인천도시공사 2년물 개별 민평은 3.70%로 8일 발행물보다 4.5bp 가량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경기도시공사(AAA)도 7일 5년물 4000억 원어치를 발행하며 개별 민평(3.08%)보다 8bp 낮은 3.00%로 조달에 성공했다. 직전 발행인 지난 2월 5년물 표면금리 3.48%에 비해 48bp나 차이가 난다.
부산도시공사(AA+)도 지난달 24일 3년물 회사채를 2.92%에 발행했다. 전일 개별 민평 3.01%보다 9bp 낮춰 2%대 조달에 성공했다.
◇ 재무건전성 따라 차별화 지속
반면 강원도개발공사, 화성도시공사 등 상대적으로 재무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은 기업의 발행 여건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강원도개발공사(AA+)는 지난달 10일 지방 공기업 중 최초로 특수채 복권 후 발행에 나섰다.
올해 1년물만 발행하다 처음으로 만기 2년물 200억 원어치 발행에 나섰지만 금리는 3.64%를 나타냈다. 전일 개별민평(3.60%) 보다 4bp 높은 수준. 회사채 AA+ 등급 기준민평 2.952%와도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 그동안 거의 수요가 형성되지 않았던 2년물 발행에 성공했다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강원도개발공사는 불과 1주일 뒤인 6월19일 수요부족을 절감하고 장기화를 포기한 채 1년짜리 단기사채 발행으로 회귀했다. 1년물 300억 원의 금리는 3.20%로 특수채와 회사채를 통틀어 AA+ 등급 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화성도시공사(AA) 역시 지난달 24일 2년물 채권 400억 원어치를 발행했지만 금리는 4.10%에 달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지방공사채 펀드 편입 비율 증가와 특수채 전환의 심리적 효과 등으로 수요 상황이 우호적으로 변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재정건전성에 따라 수혜의 폭은 꾸준히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강원도개발공사의 경우 워낙 시장의 인식이 좋지 못했기 때문에 부채감축 추진 계획의 이행과 재정건전성 변화 등 실질적인 신용도 회복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