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센터 떠안은 포스코건설…돈 잃고, 고민 늘고 시공·지분인수 3000억 출혈...임차인 모집도 난항
고설봉 기자공개 2014-08-13 08:38:00
이 기사는 2014년 08월 08일 11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송도국제업무단지(송도IBD) 개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포스코건설이 좀처럼 긴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최근 완공한 동북아무역센터 공사와 매각에서도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났으며, 임차인 구하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포스코건설은 지난달 10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송도IBD 내 국내 최고층 동북아무역센터를 준공했다. 이어 이달 1일 동북아무역센터를 시행사인 '링키지2'로부터 대우인터내셔널과 함께 인수했다. 인수 금액은 3460억 원이며, 지분율은 포스코건설 40%, 대우인터내셔널 60%다.
이 과정에서 포스코건설은 최소 15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포스코건설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보다 무려 100억 원이나 많은 금액이다. 포스코건설은 4900억 원을 들여 빌딩을 지었지만 매각가는 1440억 원 깎인 3460억 원으로 책정됐기 때문이다.
또한 포스코건설은 빌딩 매각 과정에서 1384억 원을 추가로 들여 매각 비용을 댔다. 결과적으로 동북아무역센터의 시공사와 매입사로 참여한 포스코건설은 이 빌딩에 사업비와 매각가 차액분 1440억 원과 매입비용 1384억 원의 등 2800여억 원을 썼지만 달랑 빌딩 지분 40%를 손에 쥐었을 뿐이다.
동북아무역센터의 시행사인 링키지2는 포스코건설과 게일인터내셔널이 지분 각각 30%와 70%를 가지고 있는 NSIC의 자회사다. NSIC는 공사비 조달을 위해 포스코건설은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 지급 보증을 서는 등 자금 조달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어 손실을 고스란히 떠 안았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송도개발사업에서 이익이 발생했을 때, 포스코건설이 30%의 이익을 가져가도록 돼 있지만 실질적으로 NSIC지분 중 30%를 포스코건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개발 이익 중 포스코건설의 몫은 51%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빌딩 매각 대금은 이미 PF대출금 상환으로 쓰여진 것으로 보여 실질적으로 포스코건설이 챙겨갈 몫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사업비 4900억 원 중 빌딩 매각으로 회수한 비용이 3460억 원에 불과해 나머지 차액 1440억 원은 공중에 뜬 상태다. 특수목적법인(SPC)인 시행사에서 이 1440억 원을 보전할 뾰족한 수가 없다. 결국 시행과 시공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포스코건설이 손실을 떠안을 수 밖에 없다.
|
사실상 포스코건설은 동북아무역센터의 시공과 시행, 매각 과정에서 빌딩 지분 40%를 소유한 것 외에는 아무런 이익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차후 임대수익도 기대하기 힘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대우인터내셔널이 총 13개 층을 임차해 들어오기로 했지만 내부 반발과 이전 실효성을 놓고 의견이 엇갈려 이전 시기를 연거푸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나머지 29개 층에 달하는 오피스 공간을 채울 임차인이 아직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임차를 희망하는 업체들과 물밑 접촉을 꾸준히 벌이고 있어 상황이 호전될 여지가 존재한다. 복수의 관계자는 "인천 및 서울의 중견 기업들에서 임차를 희망해 접촉하고 있다"며 "다만 오크우드 호텔을 제외한 나머지 오피스 공간 전체에 대한 임대차는 조금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건설은 게일인터내셔널코리아와 함께 합작법인 NSIC를 내세워 송도IBD를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송도IBD를 준공·미분양·진행·예정 등의 프로젝트로 분류하고 각각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담보부증권(ABS) 1조8200억 원을 발행하는 PF대출 재구조화를 진행했다.
7개 증권사가 참여해 1000억~2000억 원씩 인수하고 발행금리는 4~5%대, 만기는 4~6년 정도로 잡았다. 토지담보 대출을 통해 외환은행(3000억 원)과 SC은행(1500억 원)에서 4500억 원의 자금을 빌렸다. 이를 통해 기존 은행권 대출보다 금리를 낮춰 이자 부담을 연간 200억 원가량 줄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 기업은행, 변동성 장세에 단기채 위주 대응 추천
- 미래에셋운용, 내부통제 강화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