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6년 07월 05일 16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벤처캐피탈 업계의 인력난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신규 벤처캐피탈과 벤처조합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전문인력을 확보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지난 5월까지 중소기업청에 등록된 벤처캐피탈 전문인력은 900여명을 넘어섰다. 총 116개의 창투사가 중기청에 등록돼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벤처캐피탈 당 최소 7~8명의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전문인력은 매년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벤처캐피탈업계는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이다.
대부분의 벤처캐피탈은 시니어급 심사역을 원하고 있다. 최소 수 년 이상 투자경험을 쌓았을 뿐 아니라 대표펀드매니저까지 맡을 수 있는 경험 많은 심사역을 필요로 하고 있다. 시니어 심사역이 선호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빠르게 실무에 투입시킬 수 있고 신규 펀드결성 등 회사 운영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연차가 낮은 주니어 심사역은 경험이 쌓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벤처캐피탈 입장에서는 당장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공을 들여 투자경험을 쌓은 뒤 본격적으로 활동할 때가 되면 다른 벤처캐피탈로 이동하는 경우도 많아 회사사 입장에서는 주니어 심사역을 채용하는 것을 주저하는 상황이다.
업계 오랜 관행과 달리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는 주니어 심사역에 비중을 두고 인력유치에 나서고 있다. 김진하 대표는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면 새로 키워내면 된다는 입장이다. 린드먼아시아는 수시로 새로운 인력을 모집하고 있는데 주니어급 심사역을 많이 뽑고 있다.
린드먼아시아는 중국 투자에 특화된 벤처캐피탈이다. 투자성향이 뚜렷하고 중국에 특화된 벤처캐피탈인만큼 회사의 투자철학을 공유하기에 오히려 경험이 많지 않은 주니어 심사역이 낫다는 판단이다.
시니어 심사역을 선호하는 벤처캐피탈을 비난할 수 없다. 신규 조합 결성과 투자·회수 등 회사의 실적과 운영을 위해서는 시니어 심사역의 존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업계내에서 경험많은 심사역들만 선호한다면 중장기적으로 벤처생태계의 안정적인 성장을 장담할 수 없다. 새로운 피가 수혈돼야 벤처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
벤처 생태계는 창의성과 도전정신으로 대변된다. 경험은 부족하지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는 주니어 심사역들이 중요한 이유다. 린드먼아시아의 채용 전략에 응원을 보내고 싶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융복합 테마파크' 모노리스, 대성파인텍 품에 안긴다
- [VC 투자기업]아이벡스메디칼, 140억 시리즈C 유치…IPO '시동'
- [VC 투자기업]앱테크 '마이비' 운영 원셀프월드, 프리A 오버클로징
- '정성재호' BNK벤처, 지역투자 선봉장 면모 '눈길'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약국 생태계 확장' 바로팜, 올해 1000억 매출 조준
- [VC 투자기업]'유전자 치료기술' 글루진테라퓨틱스, 50억 유치 순항
- [VC 투자기업]캐스팅엔,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2027년 상장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