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멀티매니저 시스템 바람 분다 [인사이드 헤지펀드] 타임폴리오 필두…신규 헤지펀드들 멀티매니저 전략 선택
정준화 기자공개 2016-11-17 09:58:52
이 기사는 2016년 11월 14일 15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헤지펀드(전문투자형 사모펀드) 시장에 멀티매니저 시스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한 명의 매니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존 헤지펀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많아 추가 확산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말께 1호 헤지펀드를 출시할 예정인 트러스톤AMG는 멀티매니저 시스템을 도입한다. 트러스톤AMG는 트러스톤자산운용이 헤지펀드만 전문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지난 9월 설립한 자회사다.
트러스톤AMG는 멀티매니저 시스템 구현을 위해 5명의 외부 인력을 새롭게 뽑았다. 유안타증권에서 고유자산을 운용하던 이도한 헤지펀드 운용본부장을 비롯해 대부분이 증권사 프롭 트레이더 출신이다. 이들 5명 매니저들은 1호 헤지펀드 설정액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각자의 전략에 따라 운용하게 된다.
이처럼 멀티매니저 시스템은 하나의 펀드를 여러 매니저가 함께 운용하는 구조다. 기존 멀티 전략을 활용하는 헤지펀드의 경우 펀드 내 한 명의 매니저가 여러 전략을 구사한다. 멀티매니저 시스템은 각각의 매니저가 갖고 있는 주특기를 최대한 부각시키는 전략인 셈이다.
일종의 재간접 헤지펀드와 비슷한 콘셉트이지만 모펀드에 들어온 자금을 일정 비율로 하위 헤지펀드들에 분배한 후 끝까지 운용하는 재간접 헤지펀드와 달리 이 펀드는 하나의 펀드 내에서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 조절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 시장 변수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다.
아울러 한 명의 스타 매니저에 의존하는 펀드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다. 스타 매니저의 슬럼프나 이탈에 따른 자금 유출에 대한 리스크가 낮다.
국내 헤지펀드 운용사 중 멀티매니저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다. '주식 고수'로 통하는 황성환 대표가 이끄는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13~14명의 매니저가 하나의 펀드를 운용한다. 국내 헤지펀드 운용사 중 가장 먼저 멀티매니저 시스템을 도입한 곳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헤지펀드 시장에 뛰어든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의 4개 헤지펀드는 모두 매월 꾸준히 플러스 수익을 내며 3%대 중후반의 누적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2014년 헤지펀드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후 2년여만에 업계 4위로 성장한 안다자산운용도 멀티매니저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안다자산운용은 증권사 PI(자기자본투자) 부서 출신의 운용역 2명을 신규로 충원해 본격적으로 멀티매니저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지난달 처음으로 멀티매니저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헤지펀드를 내놨다. 이 펀드는 홍성범 2본부장과 박헌석, 김정훈 매니저 등 세 명의 매니저가 함께 운용한다. 홍 2본부장은 퀀트를 바탕으로 한 매매에 강점을, 박헌석 팀장은 펀더멘탈 롱숏에 강점을 갖고 있다. 김정훈 매니저는 퀀트와 펀더멘탈 분석을 혼용한 매매를 주로 한다.
황성환 타임폴리오자산운용 대표는 "외국의 큰 헤지펀드의 경우 하나의 펀드를 100여명의 매니저가 운용하기도 한다"며 "분산효과로 인해 시장 상황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