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M&A]금호아시아나 "'조건부 컨소시엄' 수용 불가""협상 원점으로 돌아가, SI 등 투자자 모집 차질"
길진홍 기자공개 2017-03-28 14:18:54
이 기사는 2017년 03월 28일 13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금호타이어 인수 자금 조달을 전제로 한 컨소시엄 허용 논의는 사실상 전략적투자자(SI) 등 모집 자체를 봉쇄한 것이라며 수용 불가 입장을 내놨다.채권단이 자금 모집 단계에서 컨소시엄 불허 방침을 고수할 경우 법적 대응도 검토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 관계자는 28일 "자금계획서 제출 후 이뤄지는 컨소시엄 허용 논의가 마치 조건부로 컨소시엄을 인정한 것처럼 알려졌으나, 이는 다시 각 채권은행 표결을 거쳐야 하는 사안으로 사실상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간 것과 다름없다"고 밝혔다. 이어 "초기 컨소시엄 구성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SI 등 투자자 모집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의 요청으로 의결 절차를 진행한 채권단이 제시한 '후 컨소시엄 허용'을 거절한 것으로 금호타이어 우선매수청구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될 전망이다.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우선매수청구권을 보유한 박 회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컨소시엄 구성 허용에 관한 안건을 올리고 3월 22일부터 표결을 진행해 왔다. △제3자를 인수자로 지정하는 컨소시엄을 인정한다 △우선매수청구권자가 구체적이고 타당성 있는 컨소시엄 구성 방안을 제출할 경우 허용 여부 논의를 추진한다는 안건 2개가 올랐다.
마감일인 3월 27일까지 동의서가 접수가 완료되지 않은 가운데, 28일 두 번째 안으로 채권단 결의가 이뤄졌다. 최대 의결권을 보유한 우리은행과 산업은행이 모두 '후 컨소시엄 허용'에 찬성표를 던졌다. 박 회장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자금을 조달하고, 계획서를 검증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그동안 수세에 몰린 박 회장이 유리한 국면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지만 금호아시아나는 컨소시엄 구성을 초기부터 허용해달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이 상태로는 투자자 모집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컨소시엄을 먼저 허락할 경우 다수의 SI들이 대기 중이라며 자금 조달을 자신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박 회장이 컨소시엄에 매달리면서 약 1조 원의 자금 조달이 완전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군으로 알려진 효성 등 국내 대기업을 비롯한 해외 투자자들이 모호한 입장을 취하면서, 이들을 설득하기 위한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금호타이머 매각은 소송 전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커졌다. 박 회장은 그동안 경영정상화 약정 조항을 근거로 채권단 매각 절차의 부당함을 호소해 왔다.
막판 극적인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금호산업이 보유 중인 금호타이어 상표권 협상을 매듭지어야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기업결합 신고도 마쳐야 한다. 사드 배치 등으로 악화된 중국 여론이 박 회장 측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