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3년만에 수탁고 감소 [신탁 경영분석] 2015년 말 대비 1000억 줄어……재산신탁 해지 영향
강우석 기자공개 2017-04-17 10:01:20
이 기사는 2017년 04월 12일 16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NH농협은행의 신탁 수탁고가 3년 만에 줄어들었다. 재산신탁 규모가 계약해지로 인해 줄어들었으며 신탁 수탁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금전신탁의 증가세도 주춤했다.12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농협은행의 신탁 수탁고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33조6890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73억 원 줄어든 수치다. 전체 수탁고가 줄어든 것은 3년 만의 일이다. 농협은행의 신탁 규모는 2012년 이후 매년 6조 원 이상 꾸준히 증가해왔다.
전체 수탁고의 64%를 차지하는 금전신탁의 증가세가 주춤했다. 금전신탁 수탁고(21조6796억 원)는 지난 한 해동안 8234억 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2013년(3조2163억 원)과 2014년(3조5407억 원), 2015년(3조3595억 원)의 증가추이와 비교했을 때 4배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비약적으로 커지던 재산신탁의 규모도 줄어들었다. 재산신탁 수탁고는 전년보다 9499억 원 감소한 11조4980억 원을 기록했다. 2012년 농협은행 출범 당시 수탁고(1조2500억 원)의 10배에 달하는 규모지만, 3년 만에 감소추세로 전환됐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재산신탁 계약해지 건이 있어 수탁고가 줄어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수탁고가 줄어들면서 수익성도 주춤했다. 금전신탁과 재산신탁 부문의 이익은 3633억 원, 91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3%, 8% 줄어들었다.
농협은행은 2012년 출범 당시부터 신탁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재산신탁을 집중 육성했다. 재산신탁팀을 신설하는 한편 금전채권신탁과 부동산신탁을 맡을 전문인력을 충원했다.
당시 1조2500억 원에 불과했던 재산신탁 수탁고는 2년 여만에 10조 원 규모까지 성장했다. 현재 신탁본부에는 2명의 임원을 포함해 총 107명의 인원이 근무 중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아이엠지티, 기술성평가 앞두고 '이학종·손건호' 투톱 체제 전환
- 넥슨, '카잔'으로 오랜 숙원 푸나
- [i-point]DS단석,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5000만원 기부
- [Company Watch]율곡, 지정감사 통과 '코스닥 상장 탄력'
- [i-point]엔켐 "美 대중 관세로 반사이익 기대"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오너 3세 이우일 체제 안착…'지분승계'만 남아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