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F, 인공지능에 꽂혔다 전용 펀드 신설·ICT 일반 부문도 투자 독려
권일운 기자공개 2017-07-12 07:59:47
이 기사는 2017년 07월 11일 13:2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IT펀드(KIF)가 올해 출자사업의 역량을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에 집결시키기로 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일반 부문에서 AI 분야에 대한 투자를 독려한 것은 물론, 별도의 AI 전용 펀드도 조성키로 했다.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는 지난 7일 2017년 KIF 자조합 위탁운용사 선정 계획을 통해 지능정보 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자조합을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KIF는 지능정보 산업 부문에서 1곳의 운용사를 선정해 200억 원을 출자할 방침이다.
지능정보 산업 펀드 출자금 200억 원은 이번 KIF 정기 출자사업에서 단일 운용사에 배정된 금액으로는 가장 규모가 크다. KIF 출자사업의 메인 리그 격인 ICT 일반 부문은 이보다 10% 적은 180억 원 씩이 개별 운용사에 배정된다.
지능정보 산업 펀드의 주목적 투자 대상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군이 망라돼 있다. AI에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를 결합한 산업은 물론 자율주행차와 무인기와 같은 분야에도 투자가 가능하다. 핀테크나 바이오, 스마트시티 등 ICT 기반 산업 중에서 AI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곳도 주목적 투자로 인정받을 수 있다.
ICT 일반 부문에서도 AI 산업에 대한 KIF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ICT 일반 부문 의무 투자비율을 설정함에 있어 "지능정보 분야에 약정액의 10% 이상 또는 KIF 출자금의 20%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할 것"을 명시한 것이다. ICT 일반 부문 중점 투자분야로 간주될 수 있는 산업이 AI 외에도 9곳이나 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구속력있는 조항이라는 평가다.
이번에 선정될 지능정보 산업과 ICT 일반 부문 자조합 운용사들이 최소한의 의무 투자비율만 충족(지능정보 산업 약정액 70%·ICT 일반 약정액 10%)한다고 하더라도 321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 AI 분야에 집행된다. 올해 출자사업을 통해 조성될 전체 자조합 최소 약정액 합계 1400억 원의 23%에 해당한다.
KIF의 이 같은 결정은 AI가 삼성과 네이버, 소프트뱅크, 구글 등 글로벌 ICT 기업들의 최우선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KIF 운용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정책적 의지도 상당 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덕산하이메탈, 방산기업 인수 '산자부 승인' 획득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준법지원인의 지속가능경영 '멀티 플레이' 눈길
- [이사회 모니터/SK네트웍스]'서울대·관료·교수' 편중된 사외이사진
- '관리종목 위험' 엔에스엔, 만성적자 대책 내놓나
- '펫푸드' 아크, 65억 규모 시리즈A 클로징
- 엔지스테크널러지, 고정밀 맵 서비스 연내 상용화
- JKL파트너스, 팬오션 지분 블록딜로 전량 처분
- [2021 정책형 뉴딜펀드]아주IB투자, '국민연금 펀드' 매칭 전략 통했다
- SK바이오사이언스, '국민연금' 6개월 확약 걸었다
- '전기차 호황' 세원,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