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운용, 외형 키웠지만 실속 없었다 ①[자산운용사 경영분석/실적분석]MMF·채권형 의존도 심화
최필우 기자공개 2017-08-25 10:41:40
이 기사는 2017년 08월 22일 14시1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진자산운용은 올 상반기 펀드 운용자산을 대폭 늘렸지만 실속은 없었다. 저보수 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와 채권형펀드 위주로 외형이 커진 사이 상대적으로 보수가 높은 주식형펀드와 부동산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며 수익성이 악화됐다.22일 유진자산운용 영업보고서에 따르면 펀드 운용자산은 8조 2531억 원으로 올 상반기 동안 2조 3129억 원(39%) 증가했다. 반년 만에 작년 한 해 동안의 증가분 2조 525억 원을 넘어섰다. 일임계약고는 3711억 원으로 올 들어 824억 원 감소했다.
|
유진자산운용은 지난 2012년 조철희 대표 취임 이후 적극적인 외형 확대 전략을 취하고 있다. 과거 랜드마크자산운용에서 근무하던 시절 적립식 펀드 열풍에 일조하는 등 '영업통'으로 알려진 조 대표는 대표 취임 후에도 영업 일선에서 적극적일 세일즈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표는 유진자산운용을 리테일 채널에서도 경쟁력이 있는 운용사로 만들고 싶어 했지만 운용자산에서 기관과 법인 자금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존재감 있는 상품 개발에 난항을 겪으면서 홀세일 영업에 치중한 것으로 보인다.
홀세일 영업이 중심을 이루면서 단기성 자금을 관리하는 MMF가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MMF 비중이 높은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공사모 포함) 설정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2조 3710억 원으로 상반기 동안 1조 1162억 원(89%) 늘어났다.
채권형펀드도 운용자산 증가에 한 몫 했다. 채권형펀드(공사모 포함)는 올 상반기 1조 132억 원(156%) 증가한 1조 6631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부터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업계 채권형펀드 수익률이 전반적으로 주춤한 가운데 단기채펀드 운용에서 두각을 나타낸 게 자금 모집에 주효했다. '유진챔피언단기채증권자투자신탁(채권)'은 상반기 동안 패밀리펀드 기준 1조 742억 원을 끌어 모았다.
이같이 유진자산운용은 올 상반기 큰 외형 성장을 이뤘지만 '속 빈 강정'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운용자산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MMF와 채권형펀드 보수율은 각각 0,04%, 0.08%에 불과해 운용자산이 늘어난 것에 비해 수익성은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반면 보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식형(0.18%)과 부동산투자집합기구(0.6%) 설정액은 상반기 동안 각각 747억 원, 686억 원 감소했다.
일반 제조업체의 매출액에 해당하는 영업수익은 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억 원(18%) 감소했다. 펀드 운용보수가 줄어든 게 영업수익 감소에 결정적이었다. 올 상반기 집합투자기구 운용보수는 64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억 원(22%) 줄었다.
당기순이익 역시 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26억 원에 비해 16억 원(62%) 줄어들었다. 작년 한 해 동안 올린 당기순이익(37억 원)과 비교하면 27%에 해당하는 수익 만을 올린 셈이다.
|
유진자산운용 관계자는 "단기채권형 펀드와 MMF 위주로 운용자산이 급증했지만 수익 기여도는 높지 않았던 게 사실"이라며 "보수가 높은 펀드 만기가 도래하거나 규모가 축소되면서 당기순이익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상호관세 후폭풍]RWA 조이는 금융지주, 비은행 반등 멀어지나
- [상호관세 후폭풍]금융지주, '환율 급등' 밸류업 프로그램 영향은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신설' 내부통제위, 감사위와 위원 중첩 못피했다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각양각색' 의장 선임 키워드, '여성·연장자·선임자' 중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