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싸이월드 투자..M&A 사전 단계? [싸이월드 자본확충]빅스비·밀크 경쟁력 강화 위한 '빅데이터·SNS 개발기술' 확보 기대
김세연 기자공개 2017-09-05 08:14:33
이 기사는 2017년 08월 31일 14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기업 싸이월드에 투입하는 자금은 총 50억 원 수준으로 알려지고 있다. 삼성벤처투자가 싸이월드의 전환사채(CB) 30억 원어치를 인수하고 삼성전자가 21억 원 규모의 기술 개발비를 지원하는 구조다.모바일 환경 속 해외 SNS와 경쟁에서 밀리며 사업성이 약화된 가운데 삼성이 굳이 싸이월드에 투자한 배경은 뭘까.
일단 싸이월드가 3만 여명 이상의 가입 고객 데이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투자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삼성전자가 전략적으로 추진중인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서비스 '빅스비'의 다양한 콘텐츠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로 싸이월드가 갖춘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중단된 고유의 음악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밀크 뮤직'의 부활에 미니홈피 배경음악 등 싸이월드의 고유의 서비스를 접목시키는 것도 인수 배경으로 꼽히고 있다. 싸이월드의 모회사 에어INC가 이전 선보였던 영상 SNS서비스 '에어라이브(현 싸이월드어게인)'의 페이스 채팅 기술의 활용도 가능하다.
물론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일각에서는 싸이월드의 고객 이용도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이전 가입자수만을 의미있는 빅데이터로 연결시키긴 무리라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싸이월드가 지속적인 딥 마인딩 구조를 갖추지 못한 만큼 과거 가입자들의 이용 패턴만을 통해 빅데이터의 활용가치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배경음악 서비스 등의 밀크 뮤직 접목 역시 멜론, 소리바다, 벅스 등 기존 음원 라이선스 사업자와 비교해 별다른 경쟁력이 없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빅스비 사용자의 수요가 많은 뉴스 콘텐츠 서비스 역시 굳이 싸이월드를 통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 투자 효과가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때문에 벤처캐피탈업계에서는 이번 투자를 단순 전략적 투자가 아닌 흡수합병을 위한 사전단계로 풀이하고 있다. 일단 삼성벤처투자가 CB인수를 통해 싸이월드의 소수 지분을 확보한 뒤 중장기적으로는 인수합병(M&A)을 통해 삼성전자에 사업부로 편입시키기에 앞선 사전단계라는 분석이다. 자금 투입을 통해 싸이월드 내외의 이슈를 해결하고 적절한 시점에 자본확충이나 구주거래 방식으로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벤처캐피탈업계에서는 CB의 리픽싱 조항을 활용하거나, 특정 시점에 상환권 행사를 요청할 경우 싸이월드를 인수하는 데 별다른 장애물은 없을 것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벤처캐피탈 관계자는 "기존 대주주 입장에서는 싸이월드가 삼성에 인수된 뒤 자신이 보유한 지분의 가치가 높아진다는 확신이 있다면 자신의 지분이 희석돼 경영권이 넘어가는 것을 마냥 부정적으로만 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1999년 등장한 싸이월드는 페이스북 등 외산 SNS이전 국내시장을 주도했다. 2014년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분리된 싸이월드는 지난 2016년 5월 프리챌 창업주인 전재완씨가 설립한 실시간 인터넷 방송서비스 기업 에어(현 에어INC)에 흡수합병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