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7월 31일 0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대한통운이 조단위 거래가 예상되는 독일 '슈넬레케 그룹' 인수 경쟁에 뛰어들었다. 종전보다 눈에 띄게 커진 거래규모가 이목을 끈다. 매물로 나온 슈넬레케 그룹의 예상 매각가는 약 1조원이다. CJ대한통운으로선 그간 시도해본 적 없는 대규모 딜이다.사실 CJ대한통운의 M&A 경험은 적지 않다. △2013년 중국 CJ스마트카고 지분 인수(314억원) △2015년 중국 CJ로킨 지분 인수(4550억원) △2016년 중국 CJ스피덱스 지분 인수(4811억원) △2017년 아랍에미레이트 이브라콤 지분 인수(773억원) △베트남 제마뎁 인수(688억원) 그리고 올해 △미국 DSC로지스틱스 인수(2314억원) 등이다.
최근 5년간 CJ대한통운이 인수한 해외기업만 무려 10개에 달한다. 모두 각 기업이 속한 현지 시장 내 물류거점을 확보한다는 전략의 일환이었다. 차이점이라면 이번에 인수하려는 슈넬레케 그룹의 덩치가 지금까지의 인수 대상 기업들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다. 직전 인수 기업들 중 가장 규모가 컸던 CJ로킨의 거래가도 5000억원이 채 되지 않았다.
M&A 규모가 크다는 것은 대상 기업의 현금창출력과 시장 인지도가 그만큼 뛰어나다는 뜻이다. 따라서 CJ대한통운이 해외 빅딜을 보기 시작했다는 것은 단기간 내 글로벌 시장에서 사세를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이는 CJ대한통운이 글로벌 5대 물류회사로 도약하겠다는 중장기 비전을 가속화하겠단 의미로 해석된다. 보다 큰 틀에선 이재현 회장의 경영 복귀에 맞물려 제시한 '월드베스트 CJ(2030년까지 3개 이상 사업에서 세계 1등이 되자)'가 그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모회사인 CJ제일제당이 3조원 규모 미국 식품기업 쉬완스컴퍼니를 인수하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CJ대한통운은 CJ제일제당과 함께 그룹 최전방에서 M&A를 가장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핵심 계열사다. 작년까지만 해도 CJ그룹은 조단위 M&A 경험이 없는 기업이었다. 딜 규모가 1조2000억원이었던 영국 더바디샵, 1조2600억원이었던 미국 식품업체 벨리시오 등 조단위 매물의 경쟁입찰에 참여한 적은 있지만 그때마다 고배를 마셔야 했다. 당시 시장에선 CJ그룹의 소극적인 베팅을 패인으로 들었다.
그랬던 CJ그룹이 최근 달라지고 있다. 쉬완스컴퍼니와 슈넬레케그룹 모두 꽤 강한 의지를 갖고 인수경쟁에 임하고 있단 얘기가 들린다. 오너의 경영 복귀에 탄력받아 한층 과감해진 이들의 M&A 행보가 이전과는 다른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품게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