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코웨이 되찾은 웅진, 시장 신뢰도 얻을까

한희연 기자공개 2018-11-01 11:22:12

이 기사는 2018년 10월 30일 08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자간담회 장에선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은 내내 미소를 띄었다. 오전 MBK파트너스로부터 코웨이를 인수하겠다는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한 직후였다. "자식을 되찾은 기분"이라고 격한 감정을 표현하기도 했다.

그간 시장에서 웅진이 코웨이를 되찾을 수 있다 여기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웅진이 코웨이를 MBK파트너스에 팔았던 2013년 당시 기습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딜 상대방에 대한 신뢰를 깨 버린 게 화근이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MBK에 대한 웅진의 '원죄'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당시 MBK와 웅진의 잔금납부 기한은 2012년 10월 4일이었다. 하지만 웅진의 요구로 납부기한은 10월 2일로 조정됐고 MBK는 잔금 납입 확약서도 써 줬다. 이 확약서를 갖고 웅진은 금융권 차입을 하기도 했다. 9월 25일 극동건설이 부도처리됐다. 26일엔 웅진홀딩스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정관리 신청 전 윤 회장 일가는 보유지분을 팔아 현금화하기도 했다. 다만 협상대상자인 MBK는 법정관리 소식을 미리 통보받지 못했다.

이미 이때부터 MBK 마음속에 웅진은 협상대상자 자격을 박탈당했다. 그간 웅진이 코웨이를 되찾기 위해 여러 번 러브콜을 보냈을 때도 MBK는 냉담했다. 웅진이 인수의사를 밝힌 이후 한번도 제대로 된 협상 테이블에 앉은 적이 없다고 알려졌다.

불과 얼마 전까지도 웅진은 중도 포기 않겠다, 성실히 협상에 임하겠다는 등 신의성실의 서약이 담긴 제안서를 들고 MBK를 찾았다. 하지만 제안서를 열어보지도 않고 웅진을 되돌려 보낼 정도로 MBK의 입장은 완강했다는 후문이다.

기존 예상과 달리 보름 새 MBK입장은 갑자기 선회, 극적으로 딜은 타결됐다. 웅진은 그토록 원하던 코웨이를 되찾았고, MBK는 6년간 투자로 1조 원이 훌쩍 넘는 차익을 얻게 됐다. 서로 윈윈으로 보이는 이 딜에는 금전적인 면 뿐 아니라 메신저로써 재무적투자자(FI)인 스틱인베스트먼트와 한국투자증권의 역할이 컸다고 알려졌다.

최근 2주간 협상은 진행했지만 MBK와 웅진 양측이 얼굴을 마주한 적은 없다는 후문이다. SPA 체결 당일에도 양측은 얼굴을 마주하지 않은 채 유선상으로 서류만 교환했다고 알려졌다. 보이지 않는 앙금이 상당히 깊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과정이 어찌 됐든 웅진은 신의를 잃었던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다시 코웨이를 손에 넣는 데 성공했다. 다만 웅진의 시험대는 지금부터다.

SPA 체결이 발표된 29일 코웨이 주가는 주당 6만3000원에 마감됐다. 전날(8만3900원)에 비해 24.91%나 떨어진 셈이다. 주가하락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불투명한 전망에 대한 투자자의 심리를 일부 나타내기도 한다.

간담회에서 윤 회장은 "딜이 워낙 급작스레 이뤄져 구체적인 향후 전략은 아직 수립 전"이라며 "기본적으로 코웨이가 할 수 있는 것과 연관한 사업을 계속 확장할 것"이라고 다소 두루뭉실한 향후 계획을 밝혔다. 어렵게 찾은 자식 같은 회사인 만큼 이번엔 시장과 탄탄한 신뢰를 쌓아가는 모습을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