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옛 미전실 출신 중용…김명수 물산 부사장 승진 EPC경쟁력강화 TF장…지배구조 개편에 역할 관측
이경주 기자공개 2018-12-07 08:19:00
이 기사는 2018년 12월 06일 11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그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옛 미래전략실 출신들을 중용하고 있다. 미전실 해체 후 삼성그룹 3대 사업분야인 전자·금융·바이오에서 미니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태스크포스(TF) 수장 중 승진자가 나왔다. 삼성물산(바이오)에서 EPC경쟁력강화 TF장을 맡고 있는 김명수(사진)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
김 사장은 재무통으로 대다수 경력을 삼성전자에서 보냈다. 1984년 삼성전자 가전 관리팀으로 입사해 경영지원그룹(부장)과 경영지원실(팀장)을 거쳐 2010년부터 미전실 전력2팀장(전무)로 합류했다. 김 사장은 2014년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 합병 작업을 주도하기도 했다. 2017년 초 미전실이 해체된 후엔 삼성엔지니어링으로 자리를 옮겨 최고재무책임자(CFO)가 됐고 올 초 삼성물산에 TF장으로 합류했다.
삼성그룹은 미전실 해체 후 3대 사업분야인 전자와 금융, 바이오 사업을 조율하기 위한 조직이 필요해 각 사업분야 대표회사들인 삼성전자(사업지원TF)와 삼성생명(금융경쟁력 TF), 삼성물산(EPC경쟁력강화 TF)에 미니컨트롤 타워인 TF를 구축했다.
삼성물산은 삼성그룹의 지주사격 회사다. 삼성그룹은 공정위와 금융위 등 당국으로부터 지배구조 개편 압박을 받아왔다. 금융자본(삼성생명)으로 주력 계열사(삼성전자)를 지배하는 구조를 탈피해 금산분리하라는 것이 골자다. 이 과정에서 김상조 공정위 위원장은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하는 지주사 전환을 통해 금산분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종종 언급해왔다.
이번 김 사장 승진의 배경으로 올해 EPC 경쟁력 강화 TF가 그간 소극적으로 임해온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