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기내식 새 파트너, 'RRJ 캐피탈' 면면은 골드만 출신 3인방 설립…110억달러 운용 중국계 펀드
고설봉 기자공개 2019-04-11 14:30:03
이 기사는 2019년 04월 10일 16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내식사업의 새로운 파트너를 맞은 금호그룹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하이난그룹(HNA Group)을 대체한 RRJ 캐피탈(RRJ Capital)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지난해 '기내식 대란'으로 홍역을 치렀던 만큼 새 파트너와의 협업이 아시아나항공의 안정적 운영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RRJ 캐피탈은 2011년 2 월에 설립된 사모펀드다. 골드만삭스 출신 투자은행(IB)가들이 주축이 돼 출범했다. 설립자들은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및 미국인으로 구성돼 있다.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중국 국영기업과 부동산 등을 매입해 차익을 실현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현재 RRJ 캐피탈의 최고 경영진은 5명이다. 최고 경영자(CEO) 및 관리 파트너 및 공동의장은 중신 왕(Zhongxin Wang)이 맡고 있다. 공동 창립자인 리처드 옹(Richard Ong)은 회장 겸, CEO다. 공동 창립자인 찰스 옹(Charles Ong)은 공동CEO 및 공동의장을 맡고있다. 매니징 디렉터(Managing Director)는 비비안 람(Ms. Vivian Lam)이고, 고문으로 케니 김(Kenny Kim)이 위촉돼 있다. 이사회는 중신 왕, 찰스 옹, 리처드 옹 등 3명으로 구성돼 있다.
중신 왕(1967년생)은 1986년 코넬대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시카고대학교에서 MBA를 받았다. 골드만삭스에서 15년간 일했다. 골드만삭스 자문위원으로 아시아 및 일본 투자의 공동책임자를 역임했다. 2008년 5월 중국 베이징에서 25억달러(한화 2조 8465억원) 규모 사모펀드인 에이치오피유 펀드(HOPU Fund)를 설립해 CEO를 맡았었다.
리처드 옹(1966년생)은 시카고대학을 졸업한 뒤 골드만삭스에서 15년간 경력을 쌓았다. 이후 10년 동안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홀딩스(Temasek Holdings)에서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역임했다. 또 테마섹홀딩스 자회사인 시타운홀딩스(SeaTown Holdings)에서도 CIO로 근무했다. 리처드 옹은 현재 게이트그룹 홀딩스 에이지(Gategroup Holding AG) 이사회 의장으로 선출됐다. 향후 게이트그룹 운영 전반을 그가 관장할 것으로 보인다.
찰스 옹(1970년생)은 리처드 옹의 동생이다. MIT를 졸업하고,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받았다. 2012년 RRJ 캐피탈에 합류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테마섹홀딩의 CIO로 근무했다.
이외 RRJ 캐피탈은 3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선임 투자전문가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및 투자 전략에서 평균 20년에 달하는 투자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에너지, 의료 및 금융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선임 투자팀이 산업의 흐름에 맞춰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RJ 캐피탈은 홈페이지를 통해 "RRJ 캐피털은 성장 자본, 국영 기업 및 특수 상황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사모투자 회사"라며 "에너지, 농업, 건강관리, 식품, 천연자원, 소비재, 부동산 및 금융 관련 산업에 투자하고자 한다"고 밝히고 있다.
2018년 말 현재 RRJ 캐피탈의 총 운용자산(AUM)이 110억달러(한화 12조5697억원)에 육박한다. RRJ 캐피탈은 2011년 6월에 첫번째 펀드를 23억달러 규모로 조성했다. 2013년 4월 36억달러 규모 두번째 펀드 투자자 모집을 마쳤다. 이후 2015년 9월에 45억 달러의 세번째 펀드의 펀딩을 클로징했다. 대다수의 자본이 북미 투자자들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RRJ 캐피탈은 전 세계적으로 50개 이상 회사에 투자했다. 특히 중국 국영기업 투자에 전문성을 발휘한다. 2013년 중국의 주거용 부동산 개발에 주력하는 통합 부동산 개발 회사인 로간프로퍼티홀딩스(Logan Property Holding)에 투자했다. 2014년에는 중국 석유회사 시노팩(Sinopec)의 지분 30%를 인수했다. 2015년에는 상하이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 부동산 개발 및 부동산 투자사인 씨아에이아이홀딩스(CIFI Holdings)에 투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 [thebell note]'시니어 창업시대'를 기다리며
- [i-point]박진수 주성씨앤에어 대표 "북미 네트워크 기반 영구자석 사업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서버리스 ‘웹오피스’ GS인증 1등급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윤상배 신임 대표 합류
- [i-point]국떡, 美 특허청 상표권 등록…"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 '전력반도체 올인' 매그나칩, 2분기 내 DDI 철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부·울·경 12곳 중 9곳이 적자, '빅3'도 PF 직격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