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3차 정시출자 가점 요건 단순화 중소 VC 불리한 항목 덜어내, 대주주 독립성 요건 등 삭제
방글아 기자공개 2019-06-20 08:02:07
이 기사는 2019년 06월 19일 11:2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벤처투자가 올해 3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가점 요건을 단순화하고 선정 배제 기준 중 대주주 독립성 요건을 삭제하는 등 적잖은 손질을 가했다. 모회사 등 다양한 채널에서 자금 조달이 가능한 중소형 벤처캐피탈(VC)들이 상대적으로 수혜를 볼 전망이다.
|
이번 모태펀드 출자사업의 주요 변화는 가점 요건 단순화다. 올해 2차례에 걸쳐 진행한 출자사업에서 운용사 선정 우대 기준을 10가지 이상 제시한 것과 달리 4가지로 좁혀 변화를 꾀했다.
대표적으로 5% 이상 자체 출자 제안, 트랙 레코드 가점 요건이 삭제됐다. 올해 1차에서 최초로 선보인 우대 기준인 5% 이상 자체 출자 제안 가점 요건은 자기자본을 토대로 운용 조합 지분율을 높이기 쉬운 대형 VC들에 유리한 항목으로 평가됐다. 팔로우온 투자, 계정별 주목적 투자 등 기존 트랙 레코드 또한 연혁이 짧은 신생 VC들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남은 우대 요건은 △지방·창업초기·여성기업에 30% 이상 보통주 투자 제안 △수도권 외 지역 소재 또는 지역 관계기관 출자 참여 △출자확약서 서면 확인 △외국 자본 10% 이상 출자 등 4가지다. 선정 배제 기준 가운데서는 대주주 독립성 요건(대주주 등 외부 압력으로 독립적 의사결정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을 삭제했다.
전반적으로 소규모 VC에 불리하다는 평가를 받은 항목들을 덜어낸 반면 정책 자본의 성격을 강화했다. 시한 내 자펀드 결성을 순조롭게 마칠 수 알짜 중소 VC들에 높은 평가가 이뤄질 것이란 포석으로 해석된다. 최근 벤처 투자 업계 유동성 확대로 VC를 자회사로 두고 그룹 사업과 시너지를 꾀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어 이 같은 VC들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한편 신생 VC들을 중심으로 한 출자사업은 다음 정시를 통해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에서 추가경정(추경) 예산안이 통과되면 혁신성장 부문에 대규모 출자금을 배정한 4차 정시를 진행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방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유증 흥행' 인성정보, 에스넷 편입 기대감?
- 빛샘전자, PCB 중단 1년만에 매각…순조로운 '첫발'
- 김승우 뉴로스 대표, 中 최대주주와 '공생 실험'
- [Company Watch]정준 쏠리드 대표, 주담대 상환…脫리스크 원년 되나
- [코스닥 CB 프리즘]한양디지텍 1·2회차 CB, 수익률 '세 배' 격차 배경은
- 요즈마-한미글로벌, M&A 자문 등 신성장동력 '맞손'
- [코스닥 CB 프리즘]한양디지텍 오너일가, 콜옵션 활용 '지배력 강화'
- GCT세미컨덕터, 美 1위 사업자와 5G 네트워크 고도화 '맞손'
- [퀀텀점프 2021]'M&A 매듭' 인선이엔티, 성장 본궤도 오른다
- [코스닥 CB 프리즘]뉴프렉스, '조기상환→전환' 반전 이유는